▲ 7월21일 오전 경남 산청군 신안면에서 한 농민이 최근 내린 폭우로 파손된 마을 딸기 재배 비닐하우스를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 7월21일 오전 경남 산청군 신안면에서 한 농민이 최근 내린 폭우로 파손된 마을 딸기 재배 비닐하우스를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땀냄새가 스쳤다. 붉은 체크셔츠에 소금기가 서려있었다. 끊어진 길 끝에 선 중년의 사내. 무너져 내린 마을에서 시선을 거두지 못했기에, 주름진 얼굴은 내리쫴는 햇빛을 속절없이 맞았다. 그는 손가락으로 붕괴된 마을을 가리켰다. 땅이 계속 바깥으로 밀리고 있다고 말했다. 당장이라도 바스러질듯한 붉은 흙 위에 얹혀져 있는 각종 건물들, 마치 바닥에 난 거대한 구멍에 빨려들어갈 듯이 위태로워 보였다. 인기척이 사라진 터전에는 새소리만이 정적을 달랬다. 체크셔츠의 중년 사내는 폭우로 사라진 상능 마을의 이장이었다. 그는 오전에는 수해 복구 현장을 쏘다니고 오후에는 집을 잃은 노인들을 돕는다고 했다. “고향 냄새라도 맡고 싶다”는 노인들은 인근 숙박시설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다고 전했다.  

상능마을은 산청군 생비량면 제보리에 있었다. 13가구에 16명이 거주했다. 마을 아래로는 대나무밭이 이어져 있었다. 지난 7월19일 평범한 일상이 무너졌다. 기록적인 집중호우가 산사태를 일으켰다. 산등성이에 있는 상능마을은 지반이 아래로 흘러내렸다. 주택과 창고, 마을회관을 포함한 건물 24채 대부분이 파손됐다. 돌아갈 수 없는 땅이 됐다. 군은 ‘복구 불능’ 판정을 내려야만 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다. 마을에 방문한 한 젊은 부부가 위험을 무릅쓰고 어르신들을 마을에서 구출했다는 것이 이장의 전언이다. 이장 또한 산사태가 발생하기 6분 전 “대피하라”는 마을방송을 했다. 주민 15명은 겨우 목숨을 건졌다. 삶의 터전은 송두리째 사라졌다. 도로와 수도, 전력시설이 끊겼다. 지금도 토사가 흘러내리고 있다. 이장은 마을 정자에 있는 큰 나무를 가리켰다. 하루가 다르게 나무가 기울고 있다고 했다. 마을은 이제 지도에 이름으로만 존재할뿐이었다.

마을 노인들은 대부분 70~80대 고령이다. 90대도 있다고 한다. 이장은 상능마을 인근에 집터를 구해서 2027년쯤에는 이주를 마치는 것이 군의 구상이라고 말했다. 이장은 혹시나 일을 그르칠까 더 이상의 말은 삼갔다. 그러면서도 그의 걱정은 이어졌다. “연세가 많은 어른신들이 걱정이다. 시간이 많지 않다.” 이장의 말처럼 이주 과정의 공백은 길다. 새로운 마을이 완공되기까지 주민들은 임시 거처 생활을 이어가야 한다. 

▲ 7월22일 경남 산청군 산청읍 모고리에서 경남도청 소속 공무원이 최근 집중호우로 침수된 주택의 수해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7월22일 경남 산청군 산청읍 모고리에서 경남도청 소속 공무원이 최근 집중호우로 침수된 주택의 수해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 마을의 불운으로만 봐서는 안 된다. 이번 극한호우로 합천읍은 하천이 넘쳐 읍 전체 대피령이 내려졌다. 의령 대의면에서는 제방이 무너지며 마을이 순식간에 침수됐다. 진주에서는 남강댐 수위가 계획홍수위 턱밑까지 상승했다. 30cm만 수위가 더 상승했어도 주만 10만명이 대피해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농경지 곳곳은 기습침수로 한해 농사를 망쳤다. 이 모든 사고가 인간의 예측 가능성에서 벗어난 극한 호우로 빗어진 일들이다. 

경남도는 이번 재난을 ‘국지성 기후위기형 재난’이라고 정의했다. 기상청도 이번 ‘극한호우’는 이례적이라고 설명했다. 여름철 우리나라 북쪽에 절리저기압이 장기간 머물며 차고 건조한 공기를 지속해서 유입하는 상황이 나타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한다. 이 저기압이 한반도 서쪽에서 고기압과 충돌하며 비구름대를 만들었다. 이 비구름대가 정체되면서 쏟아져내렸다고 한다. 기상청은 발생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 뿐, 내년엔 또 어떤 현상이 발생할지는 과거의 데이터로서는 예측해낼 방도가 없는 듯 했다. 매년 반복되는 일정한 패턴에서 벗어난 인간이 예측할 수 없는 기후재난이 매년 언제든지 벌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기후재난의 가장 큰 특징은 불확실성이다. 언제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큰 재난이 들이닥칠지 인간의 계산으로는 예측하기 쉽지 않다. 불확실성은 그 자체로 공포다.

김연수 경남도민일보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