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9월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재명 대통령이 9월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오전 10시부터 2시간32분에 걸쳐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당초 90분을 계획했지만 이 대통령이 질문을 더 받겠다고 하면서 약 1시간가량 질의응답이 추가됐다. 이날 기자회견에선 총 22개의 질문이 나왔다. 지난 7월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약 2시간 동안 15개 질문을 받았는데, 이 대통령이 이때보다는 더 많은 질문을 받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22개 질문 중 3개의 질문은 사전에 대통령실 출입기자들로부터 받은 질문들 중 이 대통령이 선택했다. 또 다른 2개 질문은 대통령실을 출입하지 않는 독립언론(코트워치, 살아지구)이 사전에 보낸 영상을 상영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풀뿌리언론들을 화상으로 초대해 이중 옥천신문 기자의 질문을 받은데 이어 이번엔 소규모 독립언론에 질문 기회를 준 것이다. 

이날 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낮추겠다는 기존 방침에 대해 “굳이 고집하지 않겠다”며 철회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 대통령은 또 미국 조지아주 구금시설에 수감된 한국인 330명이 내일 새벽 1시 비행기를 통해 출국한다는 내용을 밝히면서 “미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이 당황했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가 전날 특검 수사 기간을 연장하지 않는 3대(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법 수정안과 정부조직법 처리에 합의한 사실에 대해 정면 비판했다. 이 대통령은 “내란은 나라의 근본에 관한 것이어서 쉽게 무마되거나 적당히 타협할 수 있는 요소가 못 된다”며 “그걸 (정부조직법) 개정와 어떻게 맞바꾸나”라고 했다. 내란에 대한 진상규명은 타협의 대상이 아니라 옳고 그름의 문제라는 취지의 답이다. 이날 민주당은 합의 결렬을 선언하고, 3대 특검법에 대해 원안대로 특검수사기간과 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본회의에 올리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여당에서 추진하는 ‘내란 특별재판부’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입장을 강한 어조로 말했다. 이 대통령은 “위헌을 얘기하는데 그게 무슨 위헌인가”라며 “삼권분립에 대한 오해가 있는데 사법부 독립이란 것이 사법부 마음대로 하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정치가 사법에 종속돼 위험한 나라가 됐는데 그 결정적 형태가 정치검찰”이라며 “사법부는 입법부가 설정한 구조 속에서 헌법과 양심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라고 했다. 

산업재해(노동재해)나 사회적 참사가 보수정권에서 자주 발생하는데, 이를 각별하게 신경쓰면 줄일 수 있다는 주장도 했다. 이 대통령은 “대형 참사가 발생하는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보수 정권에서 주로 발생한다. 그쪽 정권을 비난하려는 팩트 왜곡이 아니다”라며 이태원 참사에 대해 “국가가 해야 할 가장 기본적 책무인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로 앞으로 이런 일 절대 안 나게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제가 산재 사고를 계속 얘기하니까 일부에선 ‘대통령이 산재 가지고 한두 번도 아니고 몇 번째냐’라는 지적을 한다”며 “공직 사회에는 제가 이런 얘기를 하니까 (산재가) 확 줄었는데 사용자들은 별로 신경을 안 쓴다”고 했다. 조금 더 주의깊게 볼 수 있도록 사측을 압박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어 “(사용자 측은) 징계를 당하는 것도 아니고, 감옥 가는 것도 아니고 고용한 사람이 감옥에 잠깐 있다가 나온다”며 “다 보험 들고, 위자료 조금 주면 되니까 계속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실 출입기자가 아니지만 질문 기회를 얻은 사법전문 독립언론 코트워치는 참사 피해자들이 수사·재판과정에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다며 해결책에 대해 물었다. 이 대통령은 “형사사법 피해자 보호는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피해자 입장에선 일종의 사회적 재난에 해당될 수 있고, 우리 모두가 당할 수 있는 일”이라고 답했다. 기후전문 독립언론 살아지구는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로 인한 화학물질 배출 문제’에 대해 물었다. 이 대통령은 “발전소 수온 규제가 없다보니 어민들 피해가 있고 생태계가 바뀌는데 근본적으로 배출 온도, 배출 물질 규제는 필요할 것 같다”며 “점검하겠다”고 답했다. 

▲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이재명 대통령. 사진=유튜브 이재명 갈무리
▲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이재명 대통령. 사진=유튜브 이재명 갈무리

현재 국회와 언론계에서 관심도가 높은 여당발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해 사실상 반대 입장을 내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누구든 돈을 벌거나 해코지를 하려고 일부러 악의적으로 가짜정보를 만들거나 조작하면 배상해야지 언론으로 특정하지 말라. 배상에 대해 언론중재법을 건들지 말라(라고 민주당에 얘기 했다)”며 “규제 범위는 최대한 좁히되 명확하게 여기(규제범위)에 들어오면 배상을 엄격하게 해서 고의로, 나쁜 의도를 가지고 일부러 그러는(허위정보를 유포하는) 건 못하게 하자”고 했다. 

이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으로 자신의 발언이 길었던 이유, 출입기자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 대통령은 “저번에 제가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했는데 대통령이 말을 많이 해서 질문을 못했다고(하더라)”라며 “저도 여러분의 취조에 응하기 위해 끌려온 게 아니라 제 입장을 말씀드릴 기회로 삼는 것으로 여러분 질문에 기대어 드리고 싶은 말씀을 드려 말이 길어졌다”고 말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미국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진행된) 프레스 개글(Press gaggle·약식 질의응답)에 여러분이 같이 있어서 엄청 힘이 됐다”며 “우리가 국가 이익을 같이 지켜낸다는 측면에서는 잠시의 차이는 접어두고 집안을 지키는 일은 같이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정상회담에서 여러분들이 딱 그런 모습을 보여주셔서 너무 감동했다”고 말했다. 

앞서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25일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에 대한 양국 기자들의 질의응답에서 한국 기자 7명이 참석해 이중 6명이 질문을 던졌다. 미국 기자들이 한국과 관련없는 질문을 던져 자칫 한국 대통령이 고립될 위기에 처할 때마다 한국 기자들이 미국 기자들과 소리치며 경쟁해 한국 관련 질문을 던졌고, 이 대통령이 발언권을 얻거나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유의미한 답변을 끌어낸 바 있다. 

▲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 참석한 기자들 비표로 활용한 케데헌 핀버튼. 사진=장슬기 기자
▲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 참석한 기자들 비표로 활용한 케데헌 핀버튼. 사진=장슬기 기자

한편 이날 대통령실은 기자회견에 참석한 기자들에게 넷플릭스와 저작권 협의를 마쳐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캐릭터 이미지를 넣은 핀 버튼을 비표로 활용하도록 했고, 100일 기념 떡도 나눴다. 케데헌 이야기에 관심이 많던 이 대통령의 대중문화 육성에 대한 의지의 표현이자 100일 기념 선물이라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장슬기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