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 경기도청지부가 26일 오전 11시 경기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희롱 발언을 한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제공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 경기도청지부가 26일 오전 11시 경기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희롱 발언을 한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제공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에 대한 사퇴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양 위원장은 지난 2월19일 운영위원회에서 “의장 개회사, 양당 대표 교섭단체 대표연설 내용이 언론사 지면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를 제한하라”고 주장해 세금으로 언론을 통제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엔 성희롱 논란까지 불거졌다. 

지난 26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 경기도청지부는 경기도청 앞에서 ‘성희롱 도의원 규탄 및 도의회 징계 이행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의회는 더 이상 침묵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도청 공무원 925명이 참가한 설문에서 양 위원장에 대한 징계에 대해 응답자 81%가 ‘제명해야 한다’고 답했다.

지난달 9일 양 위원장은 이태원에 저녁 약속이 있다고 한 도의회 사무처 직원에게 ‘남자랑 가, 여자랑 가, 쓰XX이나 스XX 하는거야? 결혼 안 했으니 스XX은 아닐테고’라고 말했고 이 사실이 알려져 비판을 받고 있다. 도의회 국민의힘 측에서는 ‘남성 간 대화였다’며 양 위원장을 두둔했고 국민의힘 경기도당은 ‘당원권 정지 6개월 및 당직 해임’ 처분을 내렸는데 미온적인 조치라는 평가가 나온다. 양 위원장은 성희롱 발언을 한 혐의로 피해자에게 고소당했는데 지난 19일 수원남부경찰서에 출석해 3시간 가량 조사를 받았다. 

앞서 지난 18일엔 양 위원장이 회의를 주재하는 것을 두고 더불어민주당이 반발하면서 운영위 회의가 순조롭게 열리지 못했다. 오전 10시 민주당이 양 위원장의 회의 주재가 부당하다고 주장했지만 양 위원장은 회의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결국 운영위 개회 시간이 수차례 지연되다가 오후 4시에야 이은주 부위원장에게 의사봉을 넘겨 회의가 진행됐다. 

양 위원장은 지난 26일 제주에서 열린 ‘대한민국 시도의회 운영위원장 협의회’에 참석해 “현 체계에선 지자체 광고비가 정치·행정적 수단으로 악용될 여지가 있다”며 “시민 세금이 투명한 절차 없이 사용되는 문제는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정한 광고 집행은 지방재정의 투명한 운용과 지역 언론 생태계의 건강성 확보를 위한 전제조건”이라며 “객관적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다른 지역에서는 지자체 광고비에 대한 합리적 집행 주장을 하면서 경기도의회 내에서는 세금을 이용해 언론을 통제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은 셈이다.

▲ 지난 19일 경기일보 사설
▲ 지난 19일 경기일보 사설

양 위원장에 대한 비판은 경기 지역신문 지면에도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경기일보는 지난 19일자 사설 <양우식 도의원, 이게 조용히 끝날 거라고 보나>에서 양 위원장이 국민의힘 도의원들 단체방에 “국민의힘을 이기는 정당으로 만들기 위해 민주당, 언론, 노조 등과의 싸움은 반드시 필요했다”고 발언한 사실을 전하며 “(홍보비 제한 발언을) 양 의원은 ‘국민의힘을 위한 언론과의 싸움’처럼 끌고 갔다. 사실과 전혀 맞지 않는다. (성희롱 사건은) 애초에 국민의힘과 무관한 일탈이다. 당을 끌어들이려는 궤변”이라고 비판했다.

한규준 경인일보 정치부 기자도 지난 19일자 <천냥 빚을 남긴 정치인의 말>이란 칼럼에서 양 위원장이 성희롱 발언에 대해 사과하지 않는 것을 거론하며 “잘못된 말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음에도 책임지는 태도는 보이지 않는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아무 일도 없다는 듯 운영위원장직을 유지하며 회의를 주재하려 한다는 점”이라고 비판했다.

인천일보는 같은날 사설 <성희롱 위원장 징계도 못 하는 도의회>에서 “사리로 따지면 양 위원장이 스스로 운영위원장직을 내려놓고 운영위 사회도 맡지 않았어야 한다”며 “도 의회가 이런 일에 힘을 빼도 될 정도로 한가한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잇따른 설화로 미루어 보건대 건전한 양식으로 도의회 운영위를 끌어갈 인물은 아니라는 판단이 든다”고 했다.

장슬기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