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내란수괴 혐의를 받는 전직 대통령 윤석열이 지난 1월 체포 직전 자신의 지지율이 오르고 있다는 극우 유튜브 영상을 경호처 차장에게 공유한 증거가 최근 법정에서 드러났다. 윤석열은 당시 “한남동을 지키려고 애쓰는 시민들을 생각해야 한다”는 메시지도 보냈다고 한다. 헌정질서 파괴로 수십만 명의 시민이 거리로 나와 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던 국면에서도 현실감 없는 상황 인식이었다.

계엄이라는 대통령의 비상식적 판단에 극우 유튜브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추론은 상식적이다. 앞서 윤석열은 체포 직전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요즘 레거시 미디어는 너무 편향돼 있으니 유튜브에서 잘 정리된 정보를 보라”고 권한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몇몇 유튜버들은 윤석열 정부에서 공직에 진출했다. 막말 유튜버로 비판받던 민영삼씨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 사장에 임명된 것이 단적인 예다. 대통령이 극우 유튜브에나 등장하는 부정선거 음모론이나 이태원참사 기획설에 빠져 보수언론의 비판과 경고까지 무시한 결과가 45년 만의 불법 계엄이었다. 돌이켜보면 지난해 한국기자협회장이 윤석열을 가리켜 “극우 유튜브에 취한 미치광이”라 말한 것도 무리는 아니다. 

내란 국면에서 극우 유튜브는 비상계엄을 옹호하고 서부지법 폭동을 사실상 주도했으며 몇몇은 조선일보가 “가짜 보수언론”이라며 절독을 강조했다. 곧 계엄 이후 1년이다. 여전히 제1야당은 극우 유튜브의 음모론적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하며 ‘체제 전쟁’을 운운하고 내란 관련 재판은 지지부진하다. 몇몇 언론은 내란 가담자 주장을 확성기처럼 전하는데 그치고, 여당은 문제 많은 ‘허위조작정보 근절법’으로 극우 유튜브에 맞서려 한다. 내란 극복을 위해, 저널리즘으로 극우 유튜브를 무너뜨리는 진지전이 절실한 시점이다.

미디어오늘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