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3일 조선일보·국민일보와 각각 인터뷰를 나누고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나섰다. 조국 위원장은 자신과 당의 핵심 문제인 자녀 입시비리와 당내 성비위 사건에 대해 사과 메시지를 던졌다.
조 위원장은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자식 입시 비리에 대해 반성하고 국민께 사과드린다”며 “부모 찬스를 가지지 못한 청년들에게 특히 더 죄송한 마음”이라고 했다. 이어 “‘내로남불’이라는 비판 역시 제 언행 탓이기 때문에 받아들이고 성찰하겠다”며 “나 자신에 대해 더 엄격했어야 했다”고 했다. 당내 성비위 사건에 대해선 “피해자들을 빨리 만났어야 했는데 마음을 살피는 데 소홀했던 점 사과드린다”며 “늦었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겠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입시 비리 등으로 징역 2년형을 받았던 조 위원장이 광복절 특사로 석방된 후 각종 논란에 대해 반성과 사과의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기사에선 “정치 복귀한 조국 비대위원장의 자기 반성과 독자 세력화 선언”이라는 부제가 달렸다.
조 위원장은 자신에 대한 비판과 평가에 대해 비교적 상세한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본인과 가족에 대해 관종이라는 지적도 나왔다’는 질문에 “그런 비판도 할 수 있다. 정치인으로서 대중적 관심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그런 조롱도 감수한다. 다만 내 딸(조민)은 공인도 아닌데 그런 딱지를 붙이는 건 과도하지 않나”라고 답했다.
‘광복절 사면에 반대한 국민이 많다’는 질문에 조 위원장은 “그분들게 조국의 새로운 효능감을 보여야 한다. 그동안 윤석열 탄핵과 검찰개혁에 앞장섰지만 이제 그 효능은 다 했다. 호남에서 기대감과 동정 여론도 떨어졌다. 앞으로 내란·극우 정치를 타파하고 불평등을 없애는 ‘스리 제로’ 정치를 펼치겠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과는 독자 노선을 강조했다. ‘민주당 2중대라고들 한다’는 질문에 “진보 성향 영세 정당이 항상 받는 질문이지만 2중대 아니다”라며 “혁신당의 길을 가고 있다. 차별금지법 제정과 토지 공개념, 중대선거구제 도입 등 독자적 정책이 있다. 민주당은 동의하지 않는다. 그런데 무조건 합치자고 하나”라고 했다.
조 위원장 본인 출마에 대해서는 “나도 당연히 선거에서 역할을 하겠지만 아직 어디로 나갈지는 말하기 힘들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호남에 출마할 단체장 후보군과 접촉 중이며 영남에서도 후보를 낸 뒤 민주당 후보와 단일화게 나서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다만 현실적으로 호남 출마자는 텃밭인 민주당에서 공천을 받지 못할 것 같은 후보가 사전에 탈당한 인사일 가능성이 크다. 지난 1일 김제시민의신문은 <내년 지방선거 출마자 40여명 물밑 작업중> 기사에서 “현재까지 시장과 도의원, 시의원 선거에 출마가 예상되는 후보 40여명은 모두 무소속도 없이 민주당 후보군에 속하고 있다”며 “민주당의 공천 여부에 따라 컷오프 후보와 사전 탈당 여부가 무소속 또는 조국혁신당 후보군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고 분석했다. 호남의 다른 지역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관련기사

조 위원장은 이날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당 지지율이 개혁신당보다 낫다’는 질문에 “비대위 체제지만 정치 활동을 멈춘 상태다. 성비위 문제 해결이 무엇보다 먼저”라며 “개혁신당은 충분히 제칠 수 있다. 내년 봄 10%대가 목표”라고 했다. 조국혁신당은 1%대까지 지지율이 떨어진 조사도 나왔다. 그만큼 당내 성비위 문제로 당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뜻이다. 국민일보는 “조 위원장은 8·15 특별사면으로 풀려나 돌아왔지만 당은 성비위 파문으로 엉망이 된 뒤였다”라고 진단했다.
조 위원장은 성비위 사건 쇄신안에 대해 “당직자, 의원실 보좌관 대상으로 성희롱·성추행 피해를 전수조사했다. 어느 정당보다 제도적으로 완비됐다고 본다. 당외 인사로 레드팀을 구성해 상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도록 만들려고 한다”고 답했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