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원 전 조국혁신당 사무부총장이 지난 5일 JTBC 유튜브 장르만 여의도에 출연해 강미정 전 대변인 성비위 폭로와 관련해 성희롱과 언어폭력이 범죄는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사진=JTBC 장르만 여의도 영상 갈무리
▲이규원 전 조국혁신당 사무부총장이 지난 5일 JTBC 유튜브 장르만 여의도에 출연해 강미정 전 대변인 성비위 폭로와 관련해 성희롱과 언어폭력이 범죄는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사진=JTBC 장르만 여의도 영상 갈무리

강미정 전 조국혁신당의 대변인의 성비위 폭로로 지도부가 총사퇴했는데도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성희롱이 불법은 아니다”, “조국 전 대표에 겨눈 화살을 거두라” 등 지도부의 언행까지 더해 불에 기름을 끼얹은 상황이 됐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지난 7일 긴급 기자회견에서 “당 안팎에서 벌어진 문제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라며 “오늘 대표 권한대행직에서 물러남으로써 그 책임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으로 최고위원 전원이 총사퇴한 조국혁신당은 오는 9일 의원총회를 열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강 전 대변인의 대리인 역할을 했던 강미숙 조국혁신당 고문은 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피해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묻는 것이 순서인데, 여전히 우리한테는 아무것도 묻지 않고 저는 이렇게 (사퇴)하시면 솔직하게 폭력적으로 느껴졌다”라며 “떠나는 피해자들은 ‘내가 먹던 우물에 침 뱉고 떠난 꼴’이 돼 버렸다. 그런 공격을 받게 된다”라고 지적했다. 

강 전 대변인의 폭로 기자회견 이후 지도부 발언은 여론의 반발을 더 키웠다. 이규원 조국혁신당 사무부총장은 지난 5일 JTBC 유튜브 ‘장르만 여의도’에 출연해 ‘언어 성희롱 같은 경우도 소개해 드릴 만한 게 아니라, 범죄 사실이라 할지라도 얘기할 만한 게 아니다’라는 정영진 진행자의 질의에 돌연 “성희롱은 범죄는 아니고 품위 유지 의무 위반은 되겠죠”라며 “성희롱이라고 통상 포섭이 될 텐데 언어폭력은 범죄는 아니고, 관련 사건이 지금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아직 결론이 안 났다”라고 주장했다. 당장 성 인지 감수성을 찾아보기 힘든 발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김선민 전 대행은 지난 6일 “이규원 사무부총장의 유튜브 발언 관련하여 오늘 중앙당 윤리위원회에 제소하였음을 알려드린다”라고 밝혔다. 결국 이 부총장이 사의를 표명해 7일 사의를 수리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황현선 조국혁신당 사무총장이 지난 5일 현안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MBC 영상 갈무리
▲황현선 조국혁신당 사무총장이 지난 5일 현안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MBC 영상 갈무리

황현선 사무총장은 지난 7일 사퇴 기자회견에서 “결과적으로 당을 혼란스럽게 만들어 당원 여러분과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라며 “계속되는 고통을 버티고 또 버티는 조국 원장에게 겨눈 화살을 거둬달라”고 썼다. 피해자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그만두면서도 사퇴의 변 같은 것들을 보면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얘기가 없고 우리 지도자 조국 님한테 죄송하고 국민께 죄송하고 이런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최강욱 전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이 가해자를 두둔하는 것으로 보이는 강연 발언도 일파만파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강욱 전 교육연수원장과 관련해 피해자와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당을 대표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라며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당의 기강을 확립하겠다”라고 밝혔다. 녹취록에 따르면, 최 전 원장은 지난달 31일 조국혁신당 대전-세종시당 행사 강연에서 “그게 그렇게 죽고 살 일인가”라고 말했다.

앞서 김선민 전 대행은 성 비위 사건이 지난 4월14일 전후로 접수됐으며, 모두 2건으로 각각 피해자 1명 가해자 1명이고,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은 1명의 피해자가 다수를 가해자로 지목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성 비위 사건 가해자 1명은 제명, 다른 1명은 당원권 정지 1년이 적용되었고,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은 피해자의 11가지 신고 가운데 1개는 인용, 10개는 기각되어 인용된 신고 내용의 가해자 1인에 대해 감봉 조치로 징계 확정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12일 조국 전 대표의 형이 확정된 날 노래방에서 성추행이 벌어진 것을 두고 김 전 대행은 “노래방에 어떻게 갔었는지 지금 파악이 안 되는 상황이고 2차 가해를 막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했다”라고 해명했다. 

조현호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