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이 6월 중 브리핑룸에 카메라 4대를 추가 설치해 출입 기자들이 대변인 등에게 질문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로 했다. 과거 대통령 기자회견에서나 볼 수 있었던 질문하는 기자들의 모습을 일상적으로 볼 수 있게 되는 셈이다. “강제 초상권 침해”라는 국민의힘의 주장에 동의하는 국민은 많지 않을 것이다.
대통령실 취재 과정도 국민 알권리 차원에서 공적 관심사일 수 있다. 이제 국민들은 기자가 계속 손을 들어도 대변인이 질문 기회를 안 주는 경우까지 확인할 수 있다. 질문과 답변 전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점에서 언론의 신뢰를 높이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해외 선진국에선 쉽게 볼 수 있는 장면이어서 이례적인 변화도 아니다. 질문하는 기자 입장에선 자신의 질문이 갖는 무게감을 더욱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관련기사
기자들은 자신을 향한 비판을 감수해야 한다. 그것은 남을 비판하는 기자들의 숙명이기도 하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비판적 질문에 나서는 기자들을 향한 과도한 비난과 신상 털기다. 벌써부터 ‘기레기 면상 영구 박제’라는 제목의 유튜브 쇼츠가 눈에 띈다. 선 넘는 성희롱, 인신공격, 조롱이 빈번해지면 기자들은 손 들기를 주저할 수밖에 없다. 자칫 브리핑룸에서의 질의응답이 ‘언론혐오’의 도구가 될까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대통령실의 기자 질문 생중계가 부디 대통령실과 기자들 사이의 건강한 긴장 관계 형성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그러기 위해선 대통령실에서 먼저 이 같은 우려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것도 방법이다.
미디어오늘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