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 KBS 사장 취임 이후 주요 뉴스 시사 프로그램 폐지와 결방, 진행자 교체 사태와 관련해 “시청률이 잘 나오고 광고도 붙는 <더 라이브>를 없애는 것은 거의 배임에 가깝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문재인 정부 때 진행자들 잘렸을 때 비판하고 분노했는데, 윤석열 정권도 똑같다”, “시청자들에 예의가 아니다”, “경우가 아니다” 등 비판도 쏟아졌다.

이에 박민 KBS 사장은 이미 자신이 기자회견 때 입장을 밝혔고, 본부장들에 문의하라고 했고, 제작본부장은 커뮤니케이션부를 통해 입장을 들으라며 즉답을 피했다.

최근 정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은 김준우 변호사는 18일 오전 MBC 라디오 <정치인싸>에 출연해 “수신료 분리 징수 문제로 예산도 아끼고, 적자기업이니 외부 진행자를 교체하고 내부 기자들로 해야 한다는 KBS 논리는 그럴 수 있다”면서도 “그런데 <더 라이브>는 시청률 엄청 잘나오고 광고도 붙는데, 이걸 갑자기 없앤다? 거의 배임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김 변호사는 “배임죄 기소가 쉽지 않지만 경영 판단에 있어 어떤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했다.

김 변호사는 KBS 1라디오 문제를 두고도 <최강시사> 프로그램 대신 한달 동안 <특집 1라디오 오늘>이라는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그 다음은 모르겠다는 KBS 입장을 두고 “너무 경우가 없는 경우”라며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KBS 라디오 <열린토론>을 진행하는 정준희 교수가 하차한 것과 관련해 김 변호사는 “새 진행자가 오더라도 일단은 (나는) 나가는 쪽으로 제작진과 협의하고 있다”면서도 “KBS 라디오 PD들 얘기를 들어보면, ‘(여러 경우를) 겪어봤지만, 이번 경우는 너무 경우 가 없다’라는 거에 대해 정치적 색깔을 떠나 모두 공감하실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준우 변호사가 18일 MBC 라디오 정치인싸에 출연해 KBS 더라이브 폐지를 두고 시청률도 잘나오고 광고도 붙는 프로그램을 없애는 것은 배임에 가깝다고 비판하고 있다. 사진=MBC 정치인싸 영상 갈무리
▲정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준우 변호사가 18일 MBC 라디오 정치인싸에 출연해 KBS 더라이브 폐지를 두고 시청률도 잘나오고 광고도 붙는 프로그램을 없애는 것은 배임에 가깝다고 비판하고 있다. 사진=MBC 정치인싸 영상 갈무리

장성철 공감과 논쟁센터 소장은 “제가 알던 분들이 이러한 일을 당하고, 이런 일을 직접 시행하는 분들”이라며 “문재인 정권 처음 출범했을 때, 박근혜 정권 때 진행을 맡겼던 분들, 패널 분들 대규모로 많이 잘린 것에 대해 저도 분노하고 비판도 많이 했는데, 윤석열 정권 들어서도 똑같은 일이 반복되니 감정이 복잡 미묘하고 저의 생계가 백척간두에 서 있다”고 털어놨다.

김재섭 국민의힘 도봉갑 당협위원장도 “KBS 편파성 문제는 오랫동안 지적돼 왔고, 정치권만 아니라 언론학계에서도 지적돼 왔다”면서도 “KBS 자체 문제가 아니라 지배구조의 문제에서 그럴 수밖에 없게 돼 있다”고 지배구조 문제를 거론했다. 김 위원장은 “(이사회를) 집권당이 7명, 반대당이 4명(을 추천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보니까 정권 교체기, 임기시기랑 맞물리게 되면 정권교체하자마자 이사회를 갈아치우는 방식이 반복돼 왔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두 가지 아쉬운 점은 첫째로 적어도 정리할 시간을 주고, 시청자에게 인사는 할 시간은 한 번이라도 줬으면 어땠을까이고, 둘째로 정권 교체할 때마다 이사회를 갈아치웠던 문제는 해결이 안 된 것 같다”고 강조했다. 여권 추천 인사가 이사회 다수를 차지하도록 이사를 교체한 뒤 여야 비율이 역전되면 사장을 갈아치우는 일이 반복됐다는 지적이다. 김 위원장은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편파성 문제는 민주당이 다음에 집권하더라도 똑같이 지적될 것”이라며 “이걸 같이 하는 노력이 돼야 공영방송의 정상화의 힘을 실어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자 김준우 변호사는 “그러니까요. 공영방송의 지배구조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대통령이 방송법 거부권을 행사하면 안 된다”며 “절대 거부권 행사하면 안되고 그대로 방송법 통과(공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장성철 공감과 논쟁센터 소장이 18일 MBC 라디오 정치인싸에 출연해 사장 바뀐 뒤 출연자들을 싹 교체했던 문재인 정부 때 나도 분노하고 비판했는데 윤석열 정권도 똑같은 것 같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진=MBC 정치인싸 갈무리
▲장성철 공감과 논쟁센터 소장이 18일 MBC 라디오 정치인싸에 출연해 사장 바뀐 뒤 출연자들을 싹 교체했던 문재인 정부 때 나도 분노하고 비판했는데 윤석열 정권도 똑같은 것 같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진=MBC 정치인싸 갈무리

김 변호사는 이와 함께 1라디오 개편방향과 관련해 “(그 방향을 들어보면) 시사프로를 줄이고 교양프로를 늘려서 뉴스 자체를 수면 위에 안 올리게 해서…언론이 정부에 대해 비판적일 수밖에 없는 속성을 갖고 있는데, 이걸 억누르려고 한다. 전혀 다른 방식으로”라며 “(그런 점에서) 이동관 박민 체제 위태롭고 위험해 보인다”고 우려했다. 이에 김재섭 국민의힘 당협위원장은 “국민의힘이 방송3법을 반대하는 것은 KBS 이사회 구조에 관한 문제 때문이 아니라 언론노조나 다른 문제 때문”이라며 “그래서 거부권 행사하지 말라는 주장에는 동의하기 어렵다”고 해명했다.

현근택 변호사는 “예전같이 공영방송에 의존하는 시대가 아니다”라며 “유튜브와 대안언론이 많다. 공영방송 뉴스를 줄이고 출연자를 바꾼다고 국민들이 아이고 우리가 이제 땡윤뉴스 나온다고 윤 대통령 잘하고 있네, 절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열받아 하는 목소리가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다른 채널과 방송에 나와 다들 얘기한다. 정말 바보 같은 짓을 했다”고 말했다.

▲김재섭 국민의힘 도봉구갑 당협위원장이 18일 MBC 라디오 정치인싸에 출연해 KBS의 여당 추천 이사가 다수를 차지하는 이사회가 사장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반복된다고 비판하고 있다. 사진=MBC 정치인싸 갈무리
▲김재섭 국민의힘 도봉구갑 당협위원장이 18일 MBC 라디오 정치인싸에 출연해 KBS의 여당 추천 이사가 다수를 차지하는 이사회가 사장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반복된다고 비판하고 있다. 사진=MBC 정치인싸 갈무리

이 방송을 진행한 이선영 아나운서는 “이 문제는 국민들 청취자들 의견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며 “손OO님이 ‘진영논리에 관계없이 시청자 청취자에 대한 예의가 아닌 것 같다’고 말씀해주셨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KBS <더 라이브> 제작진은 지난 16일 저녁 폐지 결정을 통보받았으며 4주간 다른 프로그램이 대체 편성되어 공식 종방일은 오는 12월 중순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폐지 사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이에 미디어오늘은 KBS 측에 <더 라이브> 공식 폐지 사유와 함께 ‘시청률이 잘 나오는 이 프로그램 폐지는 배임에 가깝다’는 비판에 견해를 구했으나 아직 답변을 얻지 못했다. 박민 KBS 사장은 19일 오후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그거는 저한테 묻지 말고 보도본부장과 제작본부장한테 전화하라”며 “제가 그(기자회견) 때 기자회견에서 원칙적으로 다 밝혔다”고 답했다.

임세형 KBS 제작1본부장은 ‘더 라이브 폐지는 배임에 가깝다, 경영판단 범위를 넘어섰다’는 지적에 “제가 얘기하는 것은 부적절하고, 커뮤티케이션부에 연락하면 거기서 의견을 드릴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여러차례 해봤지만 연락이 안 된다고 하자 임 본부장은 “그래도 연락해보라”고 했고, ‘폐지사유에 대해서만이라도 한말씀해달라’고 했으나 “그쪽으로 연락해보라”고 한 뒤 더 이상 대화가 이어지지 않았다.

▲KBS 더 라이브 사진. 사진=KBS 더라이브 유튜브 채널
▲KBS 더 라이브 사진. 사진=KBS 더라이브 유튜브 채널

KBS 커뮤니케이션부장에게도 동일한 내용의 질의와 함께 ‘프로그램 폐지 과정이 경우가 없다’, ‘예의가 없다’, ‘언론의 비판기능을 억누르려 한다’, ‘문재인 정권 비판하더니 윤석열 정권도 똑같다’, ‘KBS 지배구조가 여당 추천이 다수여서 벌어지는 문제가 반복된다’는 MBC <정치인싸> 출연자들의 비판에 대한 의견을 문자메시지와 SNS메신저로 질의했으나 19일 오후 4시 현재 답변을 받지 못했고, 전화연결도 되지 않았다.

앞서 박민 사장은 지난 14일 기자회견에서 ‘메인 앵커 등 교체를 한밤에 기습작전 펼치듯 강행한 배경’을 두고 “사장으로서 특정 프로그램의 개폐나 방향을 직접적으로 언급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공영방송으로서 정체성을 상실했거나 역할·책무를 제대로 하는 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들을 점검해서 적당한 대책을 협의해 추진을 하라 지시를 한 바가 있다”고 답했다. 다만 그는 구체적인 과정은 정확하게 모른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