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던진, 이른바 ‘나-윤-장-송’(나경원 윤상현 장동혁 의원과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퇴출 요구 발(發) 인적 쇄신 논쟁이 당내 친윤계와 기득권을 강타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거취 표명 요구에 당사자들은 “자해행위”, “혁신의 본질과 방향을 혁신할 필요가 있다”(나경원) “미래가 없다”(장동혁) 등 발끈하고 나섰다. 윤 위원장은 당 지도부 회의에서 ‘다구리’(집단 뭇매 또는 몰매를 뜻하는 은어)당했다고 털어놨지만, 인적 쇄신에 관한 관심은 더 커졌다.
윤희숙 위원장은 17일 비상대책위원회 비공개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어제 쇄신안에 대해 말씀이 없었느냐’라는 질의에 대뜸 “다구리, 다구리”라고 표현했다. ‘당 지도부가 안 받아들이겠다는 취지였나’ 재질의에 윤 위원장은 “비공개 때 있었던 얘기니까 그냥 다구리라는 말로 요약하겠다”라고 답했다. 거취 표명 요구 대상 인사들이 반발하고 있는 것을 두고 윤 위원장은 “어제는 실명까지 언급했지만, 우리 당에 책임지는 분이 없다는 것이 국민 눈에 너무나 답답하고, 아름답게 책임지는 중진들의 모습을 부탁드린다”라고 거듭 촉구했다.
윤 위원장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과거 2004년 차떼기로 당이 존폐의 위기에 처했을 때 당 대표를 비롯해 37명의 중진들이 불출마 선언해 당을 소생시키고, 젊은 정치에 공간을 열어줬다는 점을 들어 “나라와 당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그동안 당의 주요 의사결정을 해오신 중진들께서 아름답게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간절히 부탁드린다”라고 썼다. 윤 위원장은 전날 계엄 사과를 거부하고, 전한길 씨 등이 참석하는 행사장에 달려간 지도부 등의 책임을 물어 나경원, 윤상현, 장동혁, 송언석 의원에게 거취를 밝히라고 공개 요구했다.
김대식 비상대책위원은 회의 후 백브리핑에서 ‘다구리’가 있었느냐는 질의에 “그런 것은 전혀 없었다”라며 “윤희숙 위원장이 고민하고 고심하고 있다는 것을 오히려 위로하고 격려했는데 그거를 그렇게 말씀하시면 앞뒤가 맞지 않는 것 같다”고 반박했다.
거취 표명 대상자로 지목된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17일 페이스북에 현재 상황을 “최악의 상황”으로 규정한 뒤 “무차별 내부총질이 하루도 끊이지 않는다. 민주당이 눈엣가시처럼 여기는 사람들 몇몇을 제물 삼아 불출마 선언으로 쳐낸다고 내란당 프레임이 없어지지 않는다”라고 썼다. 나 의원은 “혁신위가 요구하는 사과는 사과가 아니다”라며 “탄핵에 반대했고, 당을 대선에서 지지해 준 40% 국민에 대한 배신이자, 소신 없는 정치인의 자기부정일 뿐”이라고 했다. 그는 “혁신의 본질과 방향부터 혁신이 필요하다”라며 “우리의 존재 이유와 존립 기반을 스스로 무너뜨리는 자해행위는 제발 그만 멈추자”라고 반발했다.

윤상현 의원은 지난 16일 페이스북에 “저를 치라. 당을 위해 언제든 쓰러질 각오가 되어 있다”라면서도 “당과 보수 재건을 위한 혁신이라면 저를 먼저 혁신위원회로 불러 달라”고 요구했다. 장동혁 의원도 같은 날짜 페이스북에 “지금 거취를 표명해야 할 사람은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라며 “윤희숙 위원장의 오발탄으로 모든 것이 묻혀버렸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것, 선거 때만 쓰고 버리는 것이 국민의힘의 혁신이라면, 국민의힘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라고 적었다.
이와 달리 6선의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17일 페이스북에 국민의힘이 반드시 절연해야 할 3대 세력으로 “1. 부정선거 음모론자들, 2. 전광훈 목사 추종자들, 3. 윤어게인 주창자들”이라고 썼다. 조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와 전화연결에서 윤 위원장의 인적 청산 요구를 두고 “당에서 수용해야 한다”라며 “윤 위원장이 지금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자신이 당 대표가 될 경우 인적쇄신위원회를 상설기구로 구성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인적 청산을 할 것이며,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고자 지난 1월6일 관저에 가 체포영장을 저지하려고 했던 45명의 국민의힘 의원들이 인적 청산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의힘이 전한길 씨의 당원 가입을 받아들인 점도 논란이다. 국민의힘 조직국은 17일 출입기자 단체 SNS 메신저에 올린 공지에서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는 본명(전○○)으로 6월8일 온라인 입당을 신청하였고, 6월9일 입당이 되었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전한길 강사 같은 ‘부정선거 음모론’과 ‘윤석열 어게인’의 아이콘을 국민의힘에 입당시키는 것을 국민께서 어떻게 보실지 생각해야 한다”라며 “국민의힘은 부정선거 음모론을 지지하지 않는 정당이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느냐”라고 반문했다.
안철수 의원은 지난 16일 페이스북에 “윤 전 대통령이 사라지니 이젠 유튜브 강사를 데려와서 ‘친길’계를 만들려고 하느냐”라며 “친길 당대표, 친길 원내대표로 당을 내란당, 계엄당, 윤어게인당으로 완전히 침몰시킬 생각이냐”라고 되물었다. 안 의원은 “그렇게 윤 전 대통령의 정신을 기리고 싶다면 서울구치소 앞에서 행사하라”며 “언제까지 우리 당원과 보수 국민을 부끄럽게 할 거냐”고 질타했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