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인 전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해 11월17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연합뉴스
▲이상인 전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해 11월17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연합뉴스

YTN이 최근 유진그룹 주도로 이사회 규모를 대폭 늘리고 ‘친유진’ 인사로 이사회를 채워 방송통신위원회가 부과한 최대주주 변경승인 요건을 위반했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나왔다. 강희석 유진이엔티 대표이사는 유진그룹과 관계 있는 YTN 이사들을 사퇴시키라는 노종면 의원 질의에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관련 청문회에서 지난달 새로 임명된 YTN 이사 다수가 ‘친유진그룹’ 인사들이라고 지적했다.

노 의원은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강희석 유진이엔티 대표이사(사장)에게 “최근 YTN 주총을 통해서 YTN 이사회 인원이 4명 순증했고 그래서 10명이 됐다. 그 가운데 8명이 유진 쪽에서 추천한 사람으로 포진이 돼 있다”라며 “유진 쪽의 (YTN에 대한) 지분이 30% 맞나”라고 했다. 강 대표는 “30.9%”라고 답했다.

노 의원은 “이번에 순증된 4명 가운데 3명도 유진에서 추천한 사람”이라며 “이 자체로도 문제지만, 자격 시비가 불거지는 사례들이 많다. 또 하나, 방통위가 금지하고 있는 (인사에 대한) 승인 조건 알고 있나. 이사의 자격요건이 규정돼 있다. 그것을 위반한 문제”라고 했다. 방통위는 ‘YTN 사외이사·감사는 유진이엔티와 관련 없는 독립된 자로 선임’해야 한다는 것을 최대주주 변경 승인 조건으로 제시한 바 있다.

▲30일 오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관련 청문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30일 오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관련 청문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앞서 지난 3월28일 YTN은 구성원 반발 속에 유진그룹 주도로 이사회 규모를 늘렸다. 노 의원은 이 가운데 조성욱 이사 선임을 “신종 전관예우의 전형”이라 규정했다. 조 이사가 2014년 검사직에서 물러난 이듬해부터 총 17개 회사의 법률고문역을 맡았는데, 유진그룹 금융계열사인 유진투자증권 법률고문도 맡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조 이사는 유진그룹을 YTN의 새 최대주주로 승인하는 과정을 주도한 이상인 당시 방통위 부위원장과 사법연수원 동기라고 짚었다.

노 의원은 “두 분(조성욱 이사와 이상인 부위원장)은 오랫동안 알고 지낸 사이인데 YTN을 유진에 넘긴 결정적 역할을 한 사람이 유진 총수의 변호인(이상인 전 부위원장)이었고, 그와 사시·연수원 동기는 또 YTN 이사가 됐다”고 했다. 강 사장은 답하지 않았다.

이어서 노 의원은 김진용 신임 YTN 이사를 두고도 “유경선 회장의 골목 친구라고 스스로 얘기한 사람”이라며 “부적절한 이사들 사퇴시켜야 사후적으로라도 방통위가 부과한 매각 승인 조건을 맞추는 것 아니겠는가”라고 물었다. 김 이사는 과거 월간중앙 인터뷰에서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과 골목 친구이며 그를 따라 철인3종 경기에 빠져 후임 트라이애슬론(철인3종)연맹 회장을 지냈다고 했는데, 해당 기사는 최근 삭제됐다. 강 사장은 노 의원 질의에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했다.

유진그룹이 YTN 대주주가 된 직후 선임된 이연주 YTN 이사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노 의원은 유경선 회장이 연세대학교 총동문회장을 맡을 당시 이 이사가 부회장을 맡았다며 “방통위 승인조건 위반이 명백하다”고 했다. 김진구 유진그룹 혁신기획실장(YTN 기타비상무이사)은 “(두 사람의 교분을) 잘 모르겠다”고 했다.

YTN 최대주주 변경승인 및 재승인을 의결한 김홍일 당시 방통위원장도 “(YTN 매각 승인 조건을) 위반한 것이 명백하면 재승인 심사에 반영돼야 하는 것”이지 않느냐는 노 의원 질의에, “재승인 심사에서도 그러한 조건을 부과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날 김 전 위원장은 자신이 YTN 민영화 관련 직무유기 혐의로 고발된 상태라는 점을 들어 청문회 증인선서를 거부했다. 

한편 YTN 공적 지분이 유진그룹으로 넘어가는 과정에 매각주관사로 나선 삼일회계법인이, YTN 민영화를 담당했던 방통위 고위간부(조성은 전 방통위 사무처장) 영입을 시도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삼일회계법인은 YTN 민영화 관련  ‘불법거래 관여 의혹’을 받고 있다.

김예리, 박서연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