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상공회의소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통계를 분석해 발표한 ‘2분기 대미 수출 관세 동향’을 각 매체가 보도했다. 한국의 2분기 대미 수출 관세액이 33억 달러로 세계 6위를 기록했고, 트럼프 행정부 출범 전인 작년 4분기 대비 47.1배 증가해 대미 10대 수출국 중 증가율 1위가 됐다는 내용이다.
여러 매체가 핵심 통계를 공통적으로 인용했다. 관세액 상위 5개국(중국 259억3000만 달러, 멕시코 55억2000만 달러, 일본 47억8000만 달러, 독일 35억7000만 달러, 베트남 33억4000만 달러) 등의 수치가 일치했다.
여러 매체가 FTA 효과 약화와 품목 관세 부과를 원인으로 지적했고, 일부는 보편관세(10%)도 언급했다. 올해 1분기까지 적용되던 한미자유무역협정(FTA) 혜택이 사라지고, 2분기부터 관세가 부과된 점을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한국, 올해 2분기 對美 관세 47배 늘었다>에서 “관세 부과액을 수출액으로 나눈 실효 관세율을 보면, 한국은 10%로 중국(39.5%), 일본(12.5%)에 이어 대미 수출 상위 10국 중 3위였다. 한국 기업이 미국에 100만달러짜리 물건을 팔면 평균적으로 10만달러가 관세로 빠져나간다는 뜻이다”라고 설명했다.
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골드만삭스 보고서를 인용해 향후 관세 부담 전망을 다뤘다. 중앙일보 <한국, 미국관세 증가율, 대미 수출 10대국 중 1위…트럼프 재선 뒤 47배 껑충>에서 “관세가 장기화할수록 한국 수출 기업들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골드만삭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엔 미국의 수입기업들이 관세의 64%를 부담했지만, 오는 10월 이후엔 미국 소비자(67%), 수출기업(25%), 수입기업(8%) 순으로 부담 정도가 바뀐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 대기업 미래 투자 전략 조명
미래 산업과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한 기사들은 각 매체의 편집 방향에 따라 다른 접근을 보였다. 이는 특정 사건에 대한 반응적 보도가 아닌, 자체적인 의제 설정에 따른 것이다.
중앙일보는 <[힘내라 대한민국] 미국에 4년간 260억 달러 전략적 투자> 등 기획 시리즈를 통해 주요 대기업의 미래 투자 전략을 집중 조명했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투자 계획을 다루면서 “현대차그룹이 올해부터 4년간 미국에 260억 달러 규모를 투자한다. 미국 투자의 핵심 분야는 제철, 자동차, 로봇 등 미래산업이다”라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당진 등 서해안에 ‘수소산업 벨트’ 추진>에서 충청남도의 수소산업 클러스터 구축 계획을 다뤘다. “충남도는 국내 석탄화력발전소 절반이 밀집한 서해안 일원에 친환경 ‘수소산업 벨트’를 구축한다고 21일 밝혔다”면서 2040년까지의 목표치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조선일보는 <“솔라시도, 에너지 자립형 AI 신도시로”>에서 BS그룹의 전남 해남군 솔라시도 개발 계획을 소개했다. “BS그룹이 전남도, 해남군과 함께 개발 중인 솔라시도는 면적만 2090만㎡에 달하는 국내 최대 민관 협력 도시 개발 사업이다”라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사우디 태양광 늘리는데…가격 밀린 K태양광엔 그림의 떡>은 글로벌 시장 현실을 분석적으로 다뤘다. “‘오일 머니’로 무장한 사우디아라비아가 태양광 발전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지만 K-태양광은 반사이익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가격 경쟁력에서 중국산에 밀리고 있어서다”라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에 대해 국민일보가 2건의 기사를 게재했다. <1차 소비쿠폰 지급 후 소상공인 매출 27% 급증> 기사는 정책의 긍정적 효과를 부각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8개 카드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했다. “소비쿠폰 지급 이후 2주간 연 매출이 30억원 이하인 사업장 결제액은 9조5876억원으로 지급 전 2주(4조580억원) 대비 26.8% 증가했다. 반면 연 매출 30억원을 초과하는 대형 사업장은 같은 기간 13.6% 늘어나는 데 그쳤다”고 보도했다.
<‘1인당 10만원’ 2차 소비쿠폰 신청 오늘부터> 기사는 실용적 정보 전달에 집중했다. 지급 대상, 소득 기준, 신청 방법 등을 건조하게 나열했다. “소득 하위 90% 선별은 상위 10%에 해당하는 약 506만명 중 고액 자산가로 판단되는 92만7000가구(248만명)를 우선 제외했다”며 구체적인 선별 기준을 설명했다.
가계대출 증가폭, 지난달보다 80% 급감
6·27 가계대출 규제의 효과를 다룬 기사들은 통계 수치는 동일하게 전달했지만, 해석과 전망에서 차이를 보였다. 5대 시중은행의 이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지난달 대비 약 80% 급감했다는 사실을 공통적으로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가계대출 증가폭, 지난달보다 80% 급감>에서 통계 발표 후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하지만 최근 은행 영업점에서는 주택 매수를 고민하는 고객들의 대출 상담이 늘어나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실히 꺾일 것이라고 안심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이유다”라며 시중은행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했다.
관련기사
서울신문은 <6·27 여파에…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80% ‘뚝’>에서 금융당국의 추가 규제 방침을 함께 다뤘다. “당국은 부동산에 쏠린 자금을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하겠다며 주담대 줄이기에 드라이브를 거는 모습이다”며 주택담보대출 위험가중치 상향 조정 계획을 소개했다.
한국은행 보고서를 다룬 기사들은 내용상 거의 동일했다. 동아일보 <“6·27 대출규제, 서울 집값 상승폭 2.1%P 끌어내려”>와 국민일보 <“6·27 규제로 서울집값 2.1%p 억제… 현 상황선 先 대출규제 後 금리인하”>는 모두 ‘6·27 규제가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을 최대 2.1%포인트 억제했다’는 한국은행의 분석 결과를 동일하게 인용했다.
미디어오늘이 9월1일부터 'AI 뉴스 브리핑'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지식 콘텐츠 스타트업 언더스코어가 생성형AI를 활용해 일 2회(오전 7시30분, 오후 5시30분) 국내 주요 언론사 기사들을 이슈별로 비교한 뒤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작성합니다. 해당 기사는 미디어오늘 편집국의 검토 및 편집을 거쳤으며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편집자주)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