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특검 조사 거부 사유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방송 메인뉴스에서 잇따랐다.
지난 28일 MBC ‘뉴스데스크’ 김경호 앵커는 첫 리포트 앵커멘트를 통해 “내란특검의 출석통보에 비공개로 해달라며 특혜를 요구해온 윤석열 전 대통령이 오늘 포토라인에 섰다”며 “이번엔 성실히 조사를 받나 했지만, 오후 들어 한동안 조사자 교체를 요구하며 조사를 거부해 파행이 벌어졌다”고 했다. 조사 파행 원인이 윤 전 대통령에게 있다는 내용이다.
윤 전 대통령은 조사 담당자인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이 자신에 대한 체포를 지휘했으며, 윤 전 대통령 측이 고발한 인물이라며 교체를 요청했다. 이와 관련해 ‘뉴스데스크’ 첫 리포트에서 기자는 “시간을 끌며 수사를 무력화하는 이른바 법기술을 동원해온 윤 전 대통령”이라고 했다.
이날 김경호 앵커는 클로징멘트를 통해 “지금까지 이런 전직 대통령은 없었다”며 “현직일 땐 위헌적인 계엄령으로 국민을 극도의 불안과 공포로 몰아넣더니, 파면당한 이후엔 무책임한 법기술로 또다시 분노와 스트레스를 자아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진실규명도, 책임추궁도,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겠다”고 했다.

JTBC ‘뉴스룸’의 안나경 앵커는 같은 날 <윤석열 측 ‘황당 이유’로 조사 거부> 리포트 앵커멘트를 통해 “‘당당히 조사받겠다’고 말해온 윤 전 대통령 측 오늘도 본질과 멀어 보이는 이유를 대면서 한 때 조사를 거부했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의 조사 거부 이유가 부적절하다는 점을 짚은 것이다.
관련기사
이날 SBS ‘8뉴스’는 법조전문기자 대담을 통해 문제를 짚었다. 윤 전 대통령의 조사자 교체 요구가 정당한지 묻는 질문에 기자는 “통상적으로 그렇게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담당 검사 등을 고소·고발하는 일이 빈번하다며 “고발장이 제출될 때마다 담당자를 바꿔야 한다면, 피의자는 고발장 제출만으로 조사자를 바꿀 수 있게 되는 셈이고, 대부분 사건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반면 같은 날 TV조선과 KBS는 윤 전 대통령의 조사 거부 이유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담기보단 양측의 ‘충돌’로 다뤘다. TV조선 ‘뉴스7’은 관련 리포트 앵커멘트에서 “출석 방식에 이어 이번엔 조사 주체를 놓고 양측은 또 한번 강하게 대립했다. 신경전 또한 점입가경”이라고 했다. KBS ‘뉴스9’은 “출석 방식에 이어 오늘(28일)은 조사 주체를 놓고 양측이 또 충돌했다”고 했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