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16일 조직개편에 반대하는 KBS 구성원들과 마주친 박장범 KBS 사장.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2024년 12월 16일 조직개편에 반대하는 KBS 구성원들과 마주친 박장범 KBS 사장.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박장범 신임 KBS 사장이 박민 전 사장이 주도해온 조직개편을 강행해 내부 반발을 부르고 있다. 신임 부사장엔 노조 탄압 비판을 받은 인물이 임명됐다.

KBS는 16일자로 제작본부 해체와 시사교양국 폐지 등 골자의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박민 전 사장이 임기 만료를 앞두고 추진한 조직개편안을, 박장범 사장이 취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밀어붙였다.

KBS 다수 노조인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와 KBS 기술인협회, PD협회 등은 이날 ‘조직개악 철회’를 촉구하는 긴급 피케팅을 진행했다. 피케팅 현장에서 박상현 KBS본부장은 “파우치 박장범은 자신의 철학이 무엇인지 밝히지도 않고 조직 개악에 대한 입장도 내놓지 않은 채 KBS의 흑역사가 될 조직개악안을 수용했다”며 “조직개악안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2024년 12월 16일 언론노조 KBS본부, KBS 기술인협회, KBS PD협회 등이 조직개편 철회를 촉구하는 피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2024년 12월 16일 언론노조 KBS본부, KBS 기술인협회, KBS PD협회 등이 조직개편 철회를 촉구하는 피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김승준 KBS 방송기술인협회장은 “외부에 보이기 위한 조직개악안에 왜 기술 조직이 희생양이 되어야 하는지 도무지 이해를 할 수 없다”며 “비전이 담긴 개편안을 제시해달라”라고 했다.

강윤기 KBS PD협회장 당선인은 제작본부 해체를 “PD들이 시사 프로그램을 만들지 말라는 의도”라고 규정했다. 조직개편에 앞서 시사 라디오 프로그램이 보도국으로 이관된 일을 두고 “결과가 무엇인가. 내란을 선동하고 부정선거 의혹을 부추겼던 고성국이라는 자가 KBS를 대표하는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의 MC로 선임되지 않았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파우치 박은 일말의 고민도 없이 낙하산 박민이 만들어 놓은 조직개악안을 그대로 추진해버렸다. 그래놓고선 자신의 뒷배와 같은 윤석열이 탄핵되자 그제서야 구성원 달래기 용으로 조직개악안의 수정을 언급하고 있다”고 했다.

KBS본부의 방송인프라, 방송네트워크, 제작기술1·2구역 조합원들은 이날 공동 성명을 내고 본부장 이하 국장급 인사들을 향해 “내란수괴가 임명한 박장범의 인사를 수락한 것은 곧 박민의 조직개악을 받아들이겠다는 것인가”라며 “총사퇴 하라”고 요구했다.

▲2024년 12월 16일 언론노조 KBS본부, KBS 기술인협회, KBS PD협회 등이 조직개편 철회를 촉구하는 피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상현 KBS본부장, 김승준 KBS 기술인협회장, 강윤기 KBS PD협회장 당선인.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2024년 12월 16일 언론노조 KBS본부, KBS 기술인협회, KBS PD협회 등이 조직개편 철회를 촉구하는 피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상현 KBS본부장, 김승준 KBS 기술인협회장, 강윤기 KBS PD협회장 당선인.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시사교양 1·2구역 조합원들도 이날 “직제규정 시행세칙상 ‘시사’ 콘텐츠 제작은 보도본부의 독점적 업무다. 즉 시사교양PD는 ‘시사’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없다”고 지적한 뒤 “KBS는 보도전문채널도, 투자사도, 제조사도 아닌 공영방송국이다. 최소한 정상적인 방송국의 조직으로라도 되돌려라”라고 했다.

한편 KBS 이사회는 이날 김우성 전 인력관리실장을 부사장으로 임명했다. KBS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김 부사장 임명 이유로 “KBS아메리카 근무 당시 북미지역 콘텐츠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2016년 광고 수입을 흑자로 전환시키는 등 공사의 안정적인 재원 확보와 노사관계 운영, 디지털 혁신의 적임자”라고 했다.

그러나 KBS 내부에선 김 부사장이 과거 노조 탄압에 나선 인물이라는 비판이 있다. 조대현 사장 재임기인 2015년 길환영 전 사장 출근길 저지에 나선 직원 9명 중징계에 관여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지난달 김 부사장이 KBS 감사 공모로 지원할 당시 KBS본부가 지원자 전원을 ‘부적격’으로 규정하며 반대한 바 있다.

KBS 야권 소수 이사들은 김 부사장 임명에 앞선 면접 전까지 기본적인 인적 자료 등도 제공 받지 못했다며 임명동의 표결에 참여하지 않는 등 절차적 하자를 주장하고 있다.

노지민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