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조선이 국민의힘이 보수 궤멸, 차기 대선 패배 등을 우려해 내란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꺼리고 있다면서 “질서 있는 퇴진이든, 총리 중심 국정운영이든 중요한 건 민심의 수용 여부”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이 정치 논리를 앞세우기 보다 민심을 되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MBN은 김용훈 전 국방부 장관이 윤 대통령 지시로 국회 계엄군 배치 등을 실시했다고 진술한다면 대통령 신병 확보 명분이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TV조선 ‘뉴스7’은 지난 8일 <“안정적 정국 수습… 총리와 당이 협의”> 보도에서 “대통령은 국정운영에서 배제됐고 내란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전락했다. 양당은 현실이 될 조기 대선을 놓고 정치적 득실을 계산하기 시작하며 정국은 더욱 혼란스럽다”고 했다.
TV조선 기자는 스튜디오 대담에서 여당이 대통령 탄핵이 아닌 ‘질서있는 퇴진’을 제안한 점에 대해 “여당으로선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또다시 자기 당 소속 대통령을 탄핵하면 보수 궤멸로 이어질 거란 위기의식과 함께, 탄핵 뒤 곧바로 치러지는 대선은 필패란 우려가 적지 않다”고 했다.
이어 기자는 “보수 일각에서야 여당의 논리를 이해할 순 있겠지만 상당수 국민은 여당의 그 같은 걱정 자체를 정치 논리로 받아들일 수 있다. 질서 있는 퇴진이든, 총리 중심 국정운영이든, 결국 가장 중요한 건 민심의 수용 여부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에 앵커는 “어떤 권력도 민심을 이기지 못한다는 건 동서고금의 진리 아니겠는가. 이번의 경우도 마찬가지겠다”고 밝혔다.

MBN ‘뉴스센터’는 지난 8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비상계엄과 관련해 대통령 지시가 있었다고 진술하면 윤 대통령 신병 확보 명분이 강화될 것이라고 했다.
MBN 기자는 스튜디오 대담을 통해 “이른 시일 내에 윤 대통령을 부른다거나 체포를 하는 식의 수사를 하기는 어려울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윤 대통령 대한 강제수사 여부는 먼저 신병을 확보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입에 달렸다는 이유”라며 “김 전 장관이 비상계엄 발령부터 국회 병력 배치 같은 행위들이 모두 대통령의 지시였다고 지목한다면 수사팀 입장에서는 대통령 신병을 확보해야 할 명분이 강해질 수 있다”고 했다.

채널A ‘뉴스A’는 한동훈 대표와 한덕수 총리의 국정운영 방안에 대해 “현직 대통령이 있는데 총리가 권한을 위임받아 다 행사하는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라며 “마치 대통령의 모든 권한을 포괄적으로 위임하는 것처럼 말했지만, 사실상 대통령 모든 권한이 예외없이 다 위임된다고 해석하기는 어려운 것”이라는 장영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인터뷰를 전했다.
채널A 앵커는 앵커브리핑 <신속 정확 철저한 수사>에서 “윤 대통령을 향한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에 경찰, 공수처까지 수사에 나섰는데 정작 주도권을 놓고 기싸움을 하고 있다”며 “첫 단추를 꿰기도 전에 소모적 공방만 벌이고 있다.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데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고 했다.
관련기사

JTBC ‘뉴스룸’은 지난 8일 <한·한 “질서있는 조기퇴진 추진”> 보도에서 “(대통령) 국정배제 약속을 비웃기라도 하듯,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사의가 수용됐단 발표가 나왔다. 총리와 여당 대표의 대국민 약속에도 윤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권한을 그대로 행사해버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JTBC는 “윤 대통령이 마음만 먹으면 헌법이 부여한 대통령으로서 모든 권한을 행사해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며 “심지어 국회에서 통과된 법안에 대한 재의요구권 즉, 거부권 더 나아가선 다시 계엄령 선포권까지 이론적으론 행사할 수 있는 상태다. 야권에선 ‘윤 대통령이 다시 계엄령을 선포하더라도 군이 따르지 않을 것’이라는 그런 선의에만 기대서는 불안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고 했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