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가 직원들에게 복지 차원으로 제공하는 교육지원 제도가 ‘그림의 떡’이라는 내부 비판이 제기됐다. 데스크 눈치가 보여 교육지원 제도를 이용하기 힘든 상황에서 사측이 지원을 장려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선일보는 기자들의 능력 향상을 위해 어학교육·직무교육·연구모임 지원 제도를 마련해 운영 중이다. 하지만 조선일보 노동조합이 2일 발행한 ‘조선노보’에 따르면 실제 이용률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한다. 홍보 부족으로 교육지원 제도를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알아도 데스크 눈치 때문에 신청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어학교육을 신청한 기자들에게 월 20만 원을 지원한다. 어학교육을 신청하기 위해선 소속 부서 부장의 결재를 받아야 한다. A조합원은 영어학원을 등록했지만 데스크의 싸늘한 반응에 마음을 접었다. 데스크는 ‘부장이 니가 한가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잘 생각해라’고 말했다고 한다. B조합원은 조선노보와 인터뷰에서 “그냥 딱 ‘눈치 보고 지원하라’는 얘기다. 일 안 하는 토요일에 수업을 듣는데도 부장 결재가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고 했다.
조선노보는 “어학뿐만 아니라 직무와 관련된 외부 강의도 지원 신청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직무교육’ 제도가 있다는 것조차 모르는 조합원이 많고, 실제 이용자도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또 조선일보는 월 20만 원 한도로 외국어·경영·경제·재무 관련 온라인 강의를 지원하지만 참여율이 저조한 상황이다. 조선노보는 “실제 수강하는 조합원은 별로 없다. 상당수는 ‘제도가 있다는 것 정도만 알지, 생각할 겨를도 없다’고 입을 모은다”고 했다. 아침보고, 지면제작 등 업무가 과중한 상황에서 온라인 강의를 듣기는 힘들다는 것.
관련기사
C조합원은 “타사 기자들은 대학원에 다니거나 언론재단 등에서 교육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는 그럴 여유가 없으니 내부 교육 지원을 더 강화해야 한다. 교육 포털도 2300개 강좌라지만 실제 들을 만한 강좌는 별로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중앙일보·동아일보 등 경쟁사들은 기자 교육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중앙일보는 최근 사원 복지포인트에서 자기 계발·문화생활 등 명목으로 1인당 매년 100만 포인트를 추가 배정하기로 했다. 동아일보는 사내 연구 동호회에 회당 100만 원, 반기당 50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조선일보 역시 동아일보와 유사한 제도를 시행 중이지만 현재 정상 운영되는 모임은 한 곳뿐이라고 한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