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는 17일자 10면 <일 언론 “한국 정부 신속대체 이례적”>이라는 기사에서 “보수우익계인 산케이신문도 이날 ‘한국 정부의 신속하고 극진한 대응은 현 정부의 일본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전했다”고 보도했다.
![]() |
||
| ▲ 정운찬 총리가 15일 부산 중구 실내실탄사격장의 희생자의 시신이 안치된 양산 부산대병원 영안실을 찾아 일본인 유족들을 위로하고 있다. ⓒ연합뉴스 | ||
이 대통령은 지난 6월5일 청와대에서 하토야마 당시 일본 민주당 대표단의 예방을 받은 일이 있다. 일본 중의원은 이 대통령 부친이 과거 일했던 일본 오사카 시마다 목장의 지금 남아 있는 생가 모습 사진과 과거 가족사진 등을 이 대통령에게 선물했다.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난 이 대통령은 “옛날에 살던 집 뒤에 대나무 밭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이 대통령과 일본의 남다른 인연을 아는 누리꾼들은 정 총리가 무릎을 꿇은 행위를 놓고 다양한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더욱 논란은 이명박 정부의 ‘이중적 태도’이다. 정 총리가 무릎을 꿇은 날은 ‘용산참사 300일’을 맞아 원혼을 달래는 굿판이 벌어진 날이다.
관련기사
경향신문은 16일자 1면에 <일 유가족에 무릎 꿇은 ‘위로’> <세종시 총리, 잊혀진 용산>이라는 사진과 기사를 나란히 내보냈다. 정 총리는 지난달 3일 추석날 아침 용산을 찾아 “저를 믿어 달라”면서 유가족에게 용산참사 해결을 약속했다.
정 총리가 약속을 지켜줄 것을 기다리던 유족들은 “추운 겨울을 길거리에서 맞게 하지 말아 달라”고 호소했지만, 돌아온 것은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었다. 법원은 용산 참사가 발생한 망루에 있었던 농성자 전원에게 지난달 28일 징역 5~6년의 유죄를 선고했다.
![]() |
||
| ▲ 정운찬 국무총리가 추석인 3일 오전 용산참사 현장을 방문해 조문한 뒤 유족들에게 미리 작성해 온 글을 읽고 있다. ⓒ연합뉴스 | ||
김종철 진보신당 대변인은 “용산참사에 대한 이 대통령의 유감표명은 전혀 없었다. 대통령과 총리, 장관이 일본인 유가족에게 보여줬던 그 진정성을 우리나라 국민에게도 보여주기를 바라는 것이 수많은 국민의 마음”이라고 지적했다.
류정민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