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가 중집을 비대위로 전환해 내부 기구를 통해 진상조사와 제도개선 작업에 들어간 것은 이번 사태를 둘러싸고 확인되지 않은 의혹과 정치적 해석이 난무하면서 자체 조사와 반성을 통해 조직의 건강성을 확인하고, 조합원과 국민의 신뢰를 하루빨리 되찾아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특히 이준안 위원장이 자체적인 진상조사를 먼저 실시하자는 중앙집행위원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이번 사태를 검찰에 고발한 데 대해 일선 본·지부장들 사이에서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절차를 무시했다”는 비판이 고조되자 내부 분열이나 세력 다툼으로 비화되는 것을 우려하는 소리가 커졌고 정확한 사태 파악과 해결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 전국언론노조는 지난달 26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 언론노조 회의실에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조합비 횡령 의혹과 관련한 진상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이창길 기자 photoeye@  
 
실제로, 방송노조협의회는 지난달 25일 열린 회의에서 더 이상 내부에서 분열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보다는 자체적인 진상조사와 반성을 통해 실추된 명예를 회복하는 데 힘을 모으자고 의견을 모았다.

언론노조 산하 신문·통신사 지부장들의 모임인 전국신문통신노조협의회(신통노협)도 긴급 총회를 열어 △검찰 고발을 강행한 이 위원장의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 △비대위(진상조사위) 구성을 통한 진상조사와 사후 대책 논의 △조선·동아일보 기자가 지난 20일 열린 중집 회의를 취재하게 된 경위 해명 △언론노조 지도부의 분열에 대한 반성과 대책 등을 이 위원장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수사권이 없는 상태에서 더 이상의 진상조사는 무의미하다’는 입장이던 이 위원장과 현 집행부도 조직을 하루 빨리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본·지부장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영식 언론노조 사무처장 권한대행, 최창규 부위원장 등 8명으로 꾸려진 소위원회는 지난달 27일부터 불법 정치자금 의혹 등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 소위는 내부에서 규약·규정에 대한 해석이 하나로 모아지지 않을 경우, 비대위에 관련 사안을 올려 전체적인 의견을 들을 계획이다.

안경숙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