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TN이 영상과 기술 직군을 합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안을 강행하며 회사 안팎에서 ‘전면 백지화 요구’가 나왔다. 업무 연관성이 없는 두 조직을 통합하는 배경으로 구성원들은 분사 사전작업을 의심한다. 회사가 ‘조직 슬림화’와 ‘성과와 보상 연동’ 등 계획도 대대적으로 내놓으면서 “구성원 간 차별과 갈등을 조장하며 YTN를 돈벌이 수단으로 몰아간다”는 비판도 불렀다.
YTN은 지난달 28일 서울 YTN 사옥 10층에 위치한 유진이엔티 사무실에서 이사회를 열고 영상과 기술 직군을 한 본부에 통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안을 통과시켰다. 기존 제작기술국과 영상국을 신규 미디어제작본부로 합쳤다. 이에 따라 지난해 3월께 김백 사장 체제로 7본부로 신규 설치했던 기구를 4본부(보도·사업·미디어제작·경영관리)로 줄였다. YTN은 개편 배경으로 “조직 세분화에 따른 일부 부서의 핵심 역량 분산, 의사 결정 지연 등의 한계도 있었다”고 밝혔다.
당장 회사 밖 영상과 기술 직능단체에서 ‘우려가 현실화됐다’는 반응을 보인다. 한국영상기자협회와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는 지난달 31일 각각 성명을 내고 개편 철회를 요구했다.
영상기자협회는 “이번 개편안이 YTN 영상기자들의 생존권과 전문성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며 “업무 성격이 전혀 다른 두 직군을 통합하는 것은 각각의 전문성을 훼손하고, 상호 오해와 갈등을 초래할 것”이라고 했다. 협회는 “이번 개편은 영상과 기술 직군을 함께 묶어 별도 자회사로 분리하려는 사전 단계라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이는 구성원들의 고용 안정성을 위협하며, YTN의 공적 역할을 약화시키는 행위”라고 했다.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도 “송출부터 시스템 관리 등 운영에 집중돼 있는 방송기술과 촬영, 그래픽 등 콘텐츠 제작에 집중돼 있는 영상의 업무 연관성이 없는데 어떻게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협업을 통한 업무 혁신을 이뤄내겠는가”라며 “전문성이 결여된 일방적인 조직개편을 즉각 취소하라”고 했다.
노동조합과 협의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나왔다.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는 “노동자의 중요한 근로조건 변경에 대해서는 단체교섭과 노사협의회를 통해 조합과 협의하도록 한 법절차 역시 지키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특히 이번 조직개편은 1년 전 유진 체제 직후 단행한 대대적인 조직개편이 실패라는 걸 스스로 자인하는 셈인데도 일말의 책임이나 반성의 기미조차 없다”고 했다.

회사가 밝힌 개편 방향에도 비판이 나온다. YTN은 공지에서 △조직 슬림화를 통한 역량 결집 △유관 역량 연결을 통해 미디어기업 최대 잠재치 달성 △성과와 보상 연동 등을 내놨다.
언론노조 YTN지부는 이를 두고 “회사는 비용 절감이라는 단순 목표를 위한 조직 슬림화가 아니라고 변명하지만, 방송의 전문성이나 공공성은 내팽개친 채 천박한 자본 논리에 따른 조직 통합 말고는 이유를 찾을 수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매출 관련 부서들만 골라서 묶어놓고 채널별 인적, 물적 장벽을 허물고 기능 중심으로 통합한다고 강변하는 건 결국 전문성, 공공성 따위는 필요 없으니 돈 버는 데만 역량을 결집하라는 말”이라고 했다. 회사의 ‘성과와 보상 연동’ 계획을 두고는 “대놓고 구성원들 사이에 차별과 갈등을 조장하겠다는 무서운 발상”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이사회에 앞서 열린 주주총회에선 ‘친유진’ 사외이사 2명 등을 추가 선임하고, 각종 종류주식과 사채 등을 발행하도록 하는 안건도 통과됐다. YTN지부는 이를 두고 “유진그룹이 이사회를 완전히 장악한 뒤 전환우선주,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주식전환청구권(스톡옵션)까지 온갖 꼼수를 동원해 YTN 지분을 늘릴 수 있게 하는 장치들을 촘촘히 박아놓은 것”이라고 했다.
이어 “친유진 이사 알박기는 YTN 사외이사를 유진과 관계없는 독립적인 자로 선임해야 한다는 최다액출자자 변경 승인 조건에 위반되며, 1000억 원이 훨씬 넘는 유동자산을 가진 언론사 YTN에서 신규 투자를 위한 주식이나 사채를 발행한다는 것도 어불성설”이라고 했다. YTN지부는 “천박한 자본의 대명사 유진그룹과 유진의 하수인 김백 일당이 갖은 음모를 동원해도 공공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YTN이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하진 않는다”고 밝혔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