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건원은 이 보도를 강하게 부인하고 나섰다. 김문식 국립보건원장은 기자들에게 “나에게 전화든, 문서든, 만나서든 연락한 자문위원은 한 사람도 없다. 탈퇴의사를 표명했다면 새 위원을 충원하기 위해서라도 알고 있어야 하는데 나에겐 아무런 연락이 없었다”고 반박했다. 권준욱 방역과장도 “나에게도 연락이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국립보건원은 이 기사와 함께 조선일보 22일 자 <사스환자 판정기준 수정> 19일 자 <이해못할 보건원>에 대해서도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를 신청했다. 국립보건원은 “보건원의 태도에 정치적 배후가 있다거나 위원 3명이 탈퇴의사를 표명했다는 등의 기사는 사실과 다르다”며 “기사에 나온 위원은 탈퇴 의사가 없고, 자문위원과의 이견은 전문가위원회 논의과정상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국립보건원 방역과 직원들은 이날 사무실 문에 ‘사실을 왜곡보도하는 조선일보 관계자의 출입을 금지합니다’라는 문구를 써붙이기도 했다. 조선일보 박중현 기자는 “자문위원과의 통화에서 분명히 탈퇴했다는 얘기를 듣고 그대로 기사화한 것이다.
‘갈등이 봉합됐다’는 국립보건원측 주장은 기사가 난 뒤 파문을 줄이고 사태를 수습하기 위한 해명일 뿐”이라며 “중재위도 ‘정정보도할 만한 사안이 못되니 보건원 직원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다는 기사를 써주고 합의하는 게 어떠냐’는 제의를 했을 정도”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중재위 관계자는 “5월6일 전에 보건원이 만족할 만한 기사가 나오면 2차 심리까지 안 갈 가능성도 있다”며 “더 이상 확인해줄 수는 없다”고 전했다.
한편 A언론사 출입기자는 “기사가 나온 뒤 해당 교수와 국립보건원측에 확인했지만 ‘탈퇴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해 기사화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B언론사 출입기자는 “회의록에도 탈퇴얘기는 없었고, 탈퇴의사를 밝혔는지에 대해서도 자리를 함께 했던 교수들이 ‘불만을 표시한 정도’라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조현호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