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개헌 문제를 둘러싼 논란을 매듭지은 배경을 놓고 다양한 정치적 해석이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의원총회 결과가 노무현 대통령 마음을 움직였다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임기 말 안정적 국정운영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마무리를 위한 정치적 선택이라는 분석도 힘을 얻고 있다.

관심 있게 지켜볼 대목은 보수신문들의 논조 흐름이다.

보수신문들은 한미 FTA 체결 이후 노 대통령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노 대통령 개헌안 발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 한미 FTA 국회 비준을 생각한다면 개헌안 발의를 거두라는 훈수도 아끼지 않았다.

노 대통령이 개헌안 발의를 실제로 거둬들이자 언론 논조는 다시 ‘훈풍’으로 바뀌었다.

조선일보는 16일 <개헌안 처리를 국정 마무리의 계기로>라는 사설에서 “자신이 꺼내든 뜻을 스스로 접은 노 대통령도 용기를 보여주었다”며 “한·미 FTA 국회 비준동의가 늦어지면 불필요한 논란과 갈등이 계속된다”고 지적했다.

청와대와 보수신문은 개헌발의 문제를 놓고 신경전을 벌였지만 한미 FTA 추진이라는 당면 과제를 앞에 두고 동반자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노 대통령, 보수신문, 한나라당의 한미 FTA ‘3각 공조’에 주목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청와대는 개헌논란 매듭과 한미 FTA는 별개의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기자들에게 “(개헌안 발의 철회는) FTA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대통령께서는 FTA와 개헌을 국정의 두 축으로 생각하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경향신문은 16일 <석 달만에 막 내린 개헌정국>이라는 사설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비준 동의, 정치권 재편 등 이런 저런 정치적 부담을 감안해 피차 적당한 선에서 타협한 것으로 해석되지만, 그 자체가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류정민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