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대표 정태익)가 인원감축 목표로 내건 180명이 미디어재단으로 전환하기 전 서울시 산하 사업소 시절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TBS가 조직 개혁을 한다며 비용절감이나 업무효율화가 아니라 감축 인원만을 목표로 정한 배경을 두고 여러 해석이 나온다. 노조에서는 “사측과 서울시가 적당한 선에서 합의한 숫자라는 것에 대한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말 서울시의회는 TBS 조례 폐지안(서울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폐지 조례안)의 시행일을 2024년 1월1일에서 6월1일로 5개월 유예하고 출연금 규모를 약 93억 원(인건비 비중 약 73억 원) 책정했다. 이는 2월 TBS 구성원 112명이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나고 180여명이 5월까지 받을 임금이라고 알려졌다. 과거 TBS 구성원이 360여명이던 때와 비교해 절반, 현재 292명 중 약 40%(112명)가 떠나야 하는 상황에서 최근 희망퇴직 신청자는 15명에 그쳤다. 

정태익 TBS 대표는 지난해 12월27일 TBS 이사회에서 “어떤 구매자가 나타나서 TBS를 구매하거나 관심을 가질 때 양적규모가 200명 이하일 때 인수가 가능하다는 계산에서 180명이 정해졌다”며 “TBS가 지역공영방송 정체성에 대한 변화를 꾀한다면 인원 변화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TBS 직원 수를 180명으로 만든 뒤 민영화할 수 있다는 내용인데 왜 180명으로 정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사진=TBS
▲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사진=TBS

조직규모를 줄일 필요가 있는 경우, 통상 예산의 한계를 정하고 이를 위해 노사가 다양한 해법을 고민하기 마련이다. 임금을 반납하거나 삭감하는 방식도 있고, 일부 직원을 내보내더라도 고액연봉자와 아닌 이들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TBS에서 ‘가급’ 직원들의 연봉은 최고 1억 원에 달하지만 ‘마급’ 직원들의 연봉은 3000만 원 수준이다. ‘가급’ 1명의 임금이 ‘마급’ 3명 임금과 비슷한데 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180명으로 결정한 것이 의아한 까닭이다. 

공교롭게 180명이란 숫자는 TBS가 미디어재단이 되기 직전인 2019년 12월 TBS 정규직 직원 수와 같다. 당시 TBS는 정규직이 181명이었고, 비정규직 인원 중 18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때문에 TBS를 기존 서울시 산하 사업소(교통방송) 수준으로 규모를 줄이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송지연 언론노조 TBS지부장은 25일 서울시의회에서 진행한 <TBS, 이대로 멈춰서야 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민영화를 위한 규모가 180명이 적당하다는 산술적 계산이 어디서 근거했는지는 전혀 밝히지 않고 있다”며 “그저 사측과 서울시가 적당한 선에서 합의한 숫자라는 것에 대한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미디어오늘은 TBS 측에 ‘112명 목표로 진행한 희망퇴직 신청자가 15명인데 이후에는 어떻게 되는지’, ‘감축 목표인원 180명은 어떻게 결정된 것인지, 다른 정치적 목적이 있는지’ 등을 물었지만 TBS 측은 25일 오후 6시 현재 답을 주지 않았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