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 민영화’ 시계추가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 정태익 TBS 대표가 민영화 수순이라 밝혔던 112명 규모 희망퇴직이 조만간 마무리 될 전망이다.

미디어오늘 취재 결과 TBS는 오는 18일까지 1~19년 근속 직원을 대상으로 조기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24일 최종 결과를 밝힐 예정이다. 조기희망퇴직수당은 퇴직 당시 기본급의 2개월분, 목표 인원은 112명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TBS 직원(292명)의 38% 이상을 내보내겠다는 것이다.

▲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사진=TBS
▲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사진=TBS

문제는 이번 희망퇴직이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점이다. 서울시의회가 TBS에 편성한 출연금 규모는 92억9769만 원이다. 이 중 인건비는 직원 180명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72억9552만 원이다. 희망퇴직 목표 인원을 채우지 못하면 회사 경영 자체가 불가능한 구조다.

TBS는 올해 사업계획서에서 희망퇴직 대상자가 아닌 직원들을 대상으로 퇴직 전제 전직교육을 실시하고, 희망퇴직 목표 인원을 채우지 못하면 노사협의롤 통해 직권면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희망퇴직은 민영화의 시작 단계로 해석되고 있다. 정태익 대표이사는 지난달 27일 이사회에서 조기희망퇴직 실시 안건을 논의하면서 “어떤 (TBS)구매자가 나타나서 방송사를 구매하거나 관심을 가질 때 양적 규모가 200명 이하일 때 인수가 가능하다는 계산에서 ‘180명’이 정해진 것”이라며 “지역 공영방송의 정체성에 대한 변화를 꾀한다면 인원에 대한 변화는 불가피한 것”이라고 했다. TBS 민영화를 고려하고 조기희망퇴직을 실시했다는 뜻이다.

TBS 구성원들은 정태익 TBS 대표에게 ‘올해 하반기 경영 계획을 밝혀달라’고 물었지만 답을 듣지 못했다. TBS 구성원 A씨는 미디어오늘에 “전체 인력 3분의1이 나가야 하는 매우 엄중한 상황임에도 조직은 마치 생존자가 없는 유령선과도 같다”며 “아무도 묻지 않고 아무도 대답하지 않는다. 오랜 시간 걸쳐 진행된 탄압 국면에서 모두가 패배주의에 빠져있다. 당장 몇 주 후에 우리가 어떻게 될지 아무도 알 수 없다”고 탄식했다.

▲지난달 열린 TBS 이사회에서 정태익 대표이사 발언 일부.
▲지난달 열린 TBS 이사회에서 정태익 대표이사 발언 일부.

김희경 TBS 이사(성균관대 사회과학대학 연구교수)는 지난달 이사회에서 “(TBS 사업계획서에는) 6월부터 12월까지는 전혀 계획이 없다. 112명을 감축하더라도 그 이후의 계획은 보이지 않아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지역공영방송사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오픈 콘텐츠를 만들 수밖에 없다고 사업계획서에 썼는데, 민간 자본을 끌어온다는 계획은 상충된다. TBS가 없어지자는 계획서이지, 운영하겠다는 계획서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