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의 박노황 이사장과 정태익 대표는 지난해 11월27일 서울시의회에 TBS 지원 폐지조례를 연기해달라며 민영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지난해 12월27일 TBS이사회에서 “어떤 구매자가 나타나 방송사를 구매하거나 관심을 가질 때 양적 규모가 200명 이하일 때 인수가 가능하다는 계산”에서 희망퇴직을 실시한다고 말했다. 매각을 고려해 인원을 줄이겠다는 설명이다. 사실 이전부터도 언론계에선 구조조정 이후 라디오가 없는 보수 성향 미디어그룹에 TBS가 넘어갈 거란 뜬소문이 돌았다. TBS 민영화는 가능할까?

▲ TBS 로고
▲ TBS 로고

한국언론정보학회(회장 김재영)와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지부장 송지연)가 25일 서울시의회에서 개최한 토론회에선 민영화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정부에서 민영화를 추진하는 YTN의 경우 뉴스전문채널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투자 가치로서 사옥과 남산타워 등 부동산이 있다. 

하지만 TBS는 그렇지 않다. TBS의 자본금은 100만 원이다. 이용성 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자문위원장은 “TBS가 자산이 거의 없어서 사실 건설자본이라도 들어올 만한 매력은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김희경 미디어미래연구소 전략연구센터장도 “부동산 자산이 있거나 방송기계설비 등 물적자산이 있어 감가상각되지 않는다면 사겠다는 곳이 있겠지만 TBS가 가진 건 정성적 평가 밖에 없어서 (민영화도) 어렵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 TBS 누리집 갈무리
▲ TBS 누리집 갈무리

TBS 경영진의 입장과 달리 민영화 추진 의지와 능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송지연 언론노조 TBS지부장은 “민영화 선언한 지 두 달이 지났는데 지난 24일에서야 민영화 TF를 출범했다”며 “민영화를 하려면 TBS의 가치평가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 가치평가 예산도 삭감했다”고 말했다. 또한 “가장 큰 문제는 서울시 출자출연기관 중 민영화된 사례는 단 한 것도 없다”고 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송 지부장은 “민영화 선언을 한 당시 서울시와 서울시의회에 조례 폐지안 6개월 연기를 공식 요청하기 직전에 이뤄졌는데 폐지안을 유예시키기 위한 결정으로 해석된다”고 해석했다. 정치적으로 봐도 서울시장이 최초로 지역공영방송을 민영화하는 사례를 만드는 부담을 질 이유가 부족하다. 만약 민영화가 진행된다 하더라도 인수자가 누구일지, 구성원 고용승계는 가능한지 등 민영화 과정에서 벌어질 경쟁과 갈등의 해결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