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태광그룹 비리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미디어업계에서는 수사 시점과 그 파급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이 수사가 종합편성채널과 이를 희망하는 대형신문사, 그리고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는 것이다.

현 정부가 미디어정책에서 공을 들여온 두 가지 사안은 IPTV와 종합편성채널이다. 일단 종편채널의 성공은 자체 경쟁력 외에 크게 세 가지 외부 요인에 달려있다는 평가다.

먼저 몇 개의 채널이 승인될 것인가, KBS 수신료 인상과 연동한 KBS2 광고물량이 시장에 빠져나올 것인가, 그리고 지상파채널과 인접한 저대역번호를 SO들로부터 받을 수 있느냐는 것이다. 첫 번째는 방통위 등 현 정부의 의지에 달린 문제고, 두 번째는 시청자들의 반발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사회적인 문제다. 세 번째는 SO의 재산권, 즉 헌법과 관련된 사안이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 등 종편채널을 희망하는 대형신문사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종편채널과 관련된 특혜를 원했고, 저대역번호 이른바 '황금채널' 배정은 이 특혜들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지난 11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행정지도'를 거론하며 종편채널에 황금채널을 줄 것을 시사하자, SO업계에서 "위헌소송도 불사하겠다"고 할 만큼 민감한 문제이기도 하다.

야당과 시민사회단체에서도 이를 문제 삼고 있어 쉽지 않은 사안이기에, 이를 어떻게 푸느냐가 종편채널 희망사는 물론 현 정부에도 종편채널 안착의 관건인 셈이다.

이는 지난해 9월 진행된 공정거래위원회의 MSO 조사와 연관 지어 볼 수 있다. 당시 공정위는 두 번에 걸쳐 티브로드, CJ헬로비전 등 MSO 7개사와 MPP인 CJ미디어 1개사를 현장 조사했다. 관련업계에서는 이미 그해 2월 방통위가 일제조사를 한 바 있어 이례적인 일이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당시 조사는 두 가지 측면에서 논란이 됐다. 먼저 IPTV다. 전병헌 민주당 의원은 그달 19일 "공정위가 MSO를 조사하기 위해 작성한 문건 중 문제가 되는 부분은 'IPTV 사업활동 방해 및 공동행위' 항목"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신성장동력으로 꼽은 IPTV가 2008년 12월 상용화됐지만 지난해 9월까지 성장세가 예상보다 밑돈 것과 연관된 것이라는 의혹이다. 당시 조사는 티브로드보다 MSP(MSO+MPP)인 CJ 쪽을 겨냥한 것이라는 평가였다. 케이블이 아닌 IPTV에는 프로그램 공급을 제대로 하지 않는 CJ 쪽이 못마땅했다는 것이다.

이 것이 공정위 조사에서 첫 번째 논란이 된 IPTV의 콘텐츠 수급에 영향을 끼치려는 압박용 아니냐는 의혹이다. 두 번째는 종편채널 선정을 앞두고 SO의 채널 편성권을 사전에 약화시키려는 의도라는 관측이었다. 문제는 두 번째 의도에 대한 의혹이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SO 쪽 한 관계자는 18일 "공정위는 현장조사 결과를 아직까지 발표하지 않고 있다"며 "조만간 그 결과도 나올지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SO업계 1위는 이미 지난해 큰 문제없이 지나간 일로 검찰 수사를 재차 받고 있고, SO업계 2위 등 MSO는 지난해 있었던 공정위 조사 결과로 다시 긴장하고 있다. 사정기관의 특별한 의도가 있느냐 없느냐와 무관하게 향후 일으킬 파장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는 그동안 정권 창출에 큰 역할을 해 온 종편채널 희망사들 쪽에 우호적인 '시그널'을 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김종화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