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의 독단과 중앙정부의 무책임함, 공정한 언론기능의 마비가 불러올 수 있는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드러냈던 이른바 '부안사태'를 되돌아보는 토론회가 열린다.

사회갈등연구소(소장 박태순)는 오는 30일 서울 무교동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국책사업이 남긴 상처, 누가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토론회를 연다. 성낙돈 덕성여대 교수의 사회로 박광우 인권위 사무관, 서복원 부안독립신문 편집국장, 나기용 산업자원부 방사성폐기물 팀장, 박태순 소장 등이 토론자로 나선다.

   
  ▲ 지난 2003년 11월21일 반핵시위 과정에서 크게 다친 전북 부안군민들이 부안수협으로 통하는 길목에 삼삼오오 모여 핵폐기장 건설 반대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창길기자 photoeye@mediatoday.co.kr  
 
이들은 △'부안사태' 4년, 부안의 실태 △인권 차원에서 평가한 부안의 오늘 △부안공동체 복원을 위한 제안 △부안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대책 △국책사업 갈등의 사후관리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 2003년 7월11일 김종규 당시 부안군수의 방사성폐기물처분장 유치선언 기자회견으로 시작된 이른바 '부안사태'는 이듬해 2월14일 주민투표로 일단락 됐다. 그러나 43명의 구속자와 380여명의 부상자(2004년 1월 조사결과) 등 방폐장 유치 논란에 휘말렸던 지역주민들은 지금도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등 각종 후유증을 호소하고 있다.

김종화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