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원회(위원장 조창현)가 앞으로 방송위원의 부적절한 행동을 자율적으로 견제하기 위한 내부 윤리위원회를 설치키로 했다.

방송위는 지난 2일 열린 전체회의에서 방송위원 대상의 윤리강령을 제정키로 하고, 그 안에 윤리위원회 설치조항을 포함시키기로 결정했다. 방송위에 따르면, 윤리위원회는 사무처 직원이 아닌 방송위원들만을 대상으로 하되 해당 사안이 발생할 시 방송위원 내부 합의에 따라 구성하는 비상설기구 형태이다. 윤리위원회 위원은 해당 사안에 따라 내부 호선을 통해 선임된다. 이는 관련된 방송위원이 윤리위원으로 활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방송위원을 대상으로 한 윤리위원회 제도 도입에는 최근 논란을 빚은 강동순 상임위원 ‘녹취록 사태’가 배경으로 작용했다. 강 위원 부적절한 발언이 논란을 빚으면서 일부 정치권과 방송계, 시민사회단체 등에서 강한 비난여론이 일었지만, 현행 방송법 상 방송위원에 대한 어떠한 견제장치도 없어 이와 관련한 어떠한 제도적 조치를 취할 수 없었다. 이에 방송위 내부에서는 자체적인 자체정화 제도로서 윤리위원회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이번 전체회의를 통해 합의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윤리위원회 제도 도입이 실질적으로 방송위원의 부적절한 행동을 통제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현재 방송위원의 직무수행과 관련해 그 부적절성을 판단해 제한할 수 있는 법 조항은 전무한 까닭에, 그 기준이 되는 윤리강령은 방송위원들의 합의에 의해 결정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호평등한 입장에 있는 방송위원들끼리 상대방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내부 논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결국 윤리위원회 제도의 실효성 여부는 제도 자체의 도입보다는 이후 운용하는 과정에 있어 방송위원 내부의 원만한 운영에 달려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선호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