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민일보가 참다못해 국가기관을 고발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위원장 성경륭)가 지난 10일 전면기사를 써 주면 취재협찬 명목으로 500만 원을 주겠다고 한 것이 발단이 됐다. 균형발전위는 해당 언론사에 기사 작성 시 제목과 관련박스, 사진 등을 사전에 협의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기관이 행사 전면소개·기사방향까지 요구한 전례 없었다"
![]() |
||
구 국장은 "균형발전위원회가 지방분권에 기여하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인정한다. 그러나 언론사 논조에 맞게 취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불러주는 것을 받아쓰라는 것 같은 자세는 국가기관으로서 온당치 않은 자세"라고 지적했다.
경남도민일보가 균형발전위의 요구를 거절하는 것은 물론 지면을 통해 내용을 자세하게 공개한 것은 구 국장이 이번 일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우리와 그쪽 담당자가 여러 차례 전화통화를 하면서 균형발전위의 입맛대로 보도해 달라는 식의 느낌을 받았다. 성과를 알리고 싶어하는 것은 알겠지만 언론사에 이런 식의 제안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 자체가 불쾌하다"고 덧붙였다.
"지역 언론사 보는 시각 반영했다고 판단…불쾌"
구 국장은 이번 일을 지역언론사로서의 위상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역기업이나 기관 등에서 협찬이나 광고를 받지 않으면 생존이 어려운 현실 속에서 균형발전위도 기존 관행이라고 생각하고 별다른 생각 없이 요구한 것이 아니겠느냐는 얘기다. 실제로 일부 지역언론사에서는 균형발전위 행사 기사를 전면을 털어 보도하기도 했다.
구 국장은 "서울과 다른 지역만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며 "지역은 서울과 달리 협력과 상생을 하지 않으면 생존이 어려운 구조"라고 밝혔다. 그는 "지역기업이나 돈줄을 쥐고 있는 기관 등에서 강하게 나오면 반론을 제기하기도 어렵고 상생이라는 이름으로 유착이 심한 것도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언론사로서의 원칙 잊을 수 없어"…"보도협조 요청했지 논조 간섭아니었다"
관련기사
그럼에도 구 국장이 기사로 사실을 공개한 것은 언론사로서의 원칙은 지켜야 한다는 신념 때문이다. 그는 "그동안 지역언론이 관행이라고 생각하고 문제의식을 갖지 못했던 것이 이 사태까지 온 것 같다"며 "작은 일은 타협하더라도 언론사로서 잊지 말아야 할 큰 원칙과 취재대상과의 건강한 긴장관계를 지켜나가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밝혔다. 구 국장은 지면을 통해 해당 내용을 공개한 것이 균형발전위 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국가발전위는 경남도민일보의 보도에 대해 협조를 요청한 것이지 언론사의 논조에 간섭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는 내용의 반론을 요청한 상태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