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돈공천 의혹 사건의 핵심 당사자인 현기환 전 의원과 중간 배달자로 지목된 조기문씨는 3월15일 어디에 있었을까. "같은 기지국 내(200미터)에 있었다"는 경향신문과 한겨레의 보도에 부산일보는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3월15일날 이들이 어디에 있는지 여부가 중요한 이유는 현 의원의 전 비서이자 사건 제보자인 정아무개씨가 이날 현영희 의원이 현기환 전 의원에게 전달하라고 한 3억원이 든 쇼핑백을 받아, 이 돈을 조씨에게 전했다고 진술했기 때문이다.
경향신문은 7일자 머리기사 <현기환·조기문, 돈 줬다는 날 같은 기지국 반경내에 있었다>에서 "검찰의 통화내역 조회 결과 이날 같은 휴대폰 기지국 반경 내에 조씨와 돈을 받았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현기환 전 의원이 함께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며 "검찰은 또 지난 3일 자진출석한 현 전 의원을 상대로 3월15일 조씨와 같은 기지국 반경 내에 있었다는 통화내역 조회 결과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뷰스앤뉴스는 <"새누리당, 현기환-조기문 같은 기지국 사용 은폐">에서 "당 핵심 관계자는 7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오늘 아침 두 사람(현기환-조기문)이 같은 기지국 내에서 휴대폰을 사용했다는 사실이 대대적으로 보도되고 있는데, 사실 지난 3일 오전 최고위원회에서 이같은 정황을 지도부가 이미 확인했었다'며 '그럼에도 대다수 지도부 인사들은 이를 그냥 넘겼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부산일보의 기사는 세 언론의 보도를 정면 반박하고 있다. 같은 날 8면 기사 <4명 진술 확연히 엇갈리고 루머만 무성>에서 "대표적인 사례가 '공천헌금이 오간 3월15일 현 전 의원과 조씨의 휴대폰이 같은 기지국 권역 내에 있었다'는 주장"이라며 "전직 사정기관 총수 출신으로 최근 여당에 몸담은 한 인사가 일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 얘기가 바탕이 됐다"고 전했다.

경향신문과 한겨레 모두 이번 사안에 대한 1차적 정보는 부산일보가 지적한 대로 여권 인사의 발언에서 얻었다. 경향신문은 그 뒤 검찰 측에 확인했다고 밝혔다. 기사에 따르면 부산일보 역시 검찰 측으로부터 확인을 거쳤다. 같은 검찰이라도 '누구'로부터 확인했느냐에 따라 팩트가 완전히 달라졌다.
한편 조씨는 문제의 3월15일 서울에 있었다고 실토했지만 받은 돈의 액수를 전하는 언론의 태도도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선일보는 1면 기사 <"현영희 돈 받았지만 3억보다 훨씬 적어">에 따르면 조씨는 지난 4일 검찰 조사에서 지난 총선 때 현영희 의원 측으로부터 돈을 받은 적이 있지만 3억원이 아니고 훨씬 적은 액수"라고 진술했다고 한다.
서울신문 <"조기문, 서울역에서 정동근 만나 돈 받았다 시인">에서 그 뉘앙스가 좀 다르다. 서울신문은 "하지만 받은 액수에 대해서는 '3억원보다는 적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3억보다는 훨씬 적다'와 '3억보다는 적다'는 엄연히 의미하는 바가 다르다.
관련기사
중앙일보는 조씨가 3억 원을 받지 않았다는 데 초점을 맞쳤다. 중앙일보는 조씨가 "그날 서울역에서 정시를 만난 것은 사실이지만 현금 3억 원이 든 쇼핑백을 받은 적이 없다"고 진술했다고 전했다.
이 역시 모두 검찰로부터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쓴 기사인데 액수에 대한 내용이 조금씩 다르고, 부각시킨 내용도 달랐던 셈이다.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