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퇴직, 구조조정 등 KBS 경영진의 인력 감축 방안 언급이 구체화되고 있다. 박민 사장 이하 KBS 경영진은 28일 부장급 이상 직원, 본사 임원 등이 참여한 ‘위기 극복 워크숍’에서 관련 계획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춘호 전략기획실장은 특단의 대책이 없으면 KBS가 2년 안에 자본잠식 상태가 될 거라 예측했다. 올해의 경우 비용 절감분을 고려해도 수신료 수입이 197억 원, 광고 수입이 800억 원 줄어드는 등 800억 원대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할 거란 전망이다. 이 실장은 수신료 분리징수로 인해 내년도 수신료 결손이 30%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3400억 원가량의 수신료 수입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이날 경영진은 경영위기 타개책으로 ‘인건비 감축’을 내놨다. 인건비를 20% 축소하고, 20년 이상 근속자 1770여명을 대상으로 특별명예퇴직을 확대 시행하며, 구조조정도 적극 검토한다는 것이다. 계열사 위탁비를 10~20% 줄이고, 파견 등 단기계약 인원을 50% 감축한다는 계획 등은 비정규직 노동자에게도 직접적인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급속한 재정 위기의 주된 요인인 수신료 분리징수에 대해서는 근본적 대응 방안이 제시되지 않았다. 분리징수로 징수비용 증가가 불가피한 가운데 수신료 징수 업무를 위탁 수행하고 있는 한국전력측이 수신료의 6%대인 현행 수수료를 높이고, 수신료 민원 업무 및 책임을 KBS가 맡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KBS는 수신료 관련 인력을 기존 163명에서 416명으로 253명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현재 경영직군 직원들이 일하고 있는 전국 각지의 수신료 사업지사를 ‘공통직군’화해서 전 직군을 배치하는 방안 등도 제시됐다. 아울러 근무성적 하위 5% 미만인 업무부적응자를 대상으로 인재개발원에서 별도 교육을 진행하고 새로운 부서로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영등포구 KBS 사옥. 사진=KBS
▲서울 영등포구 KBS 사옥. 사진=KBS

이를 두고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는 29일 “낙하산 사장 임무는 ‘KBS 살리기’가 아닌 용산 지령에 따라 ‘KBS 박살내기’였다는 점이 더 명확해졌다”며 “자산이자 원동력인 인력을 잘라내고 사람의 창의성을 억누르는 긴축과 검열을 일상화하는 체제로는 공영방송 KBS의 발전을 가져올 수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대부분 긴축방안도 노동자에게 불이익한 취업규칙 변경을 수반한다. 회사는 이런 내용을 발표하면서 교섭대표노조인 언론노조 KBS본부에는 어떠한 기본적인 설명조차 없었다”며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불이익 변경은 실정법 위반으로 사법처리라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KBS본부는 “‘낙하산 박민’은 사장에 지원하며 본인의 기자 경력에서 쌓인 인적 네트워크를 갖추었다며 현재 KBS의 위기를 극복할 교섭력을 갖췄다고 자부했다. 그런데 ‘낙하산 박민’이 KBS에 와서 무엇을 했나”라며 “시행령이 못박은 ‘수신료 분리징수’는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국토교통부나 대한주택관리사협회 등 다른 기관들과의 협조는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나아가 “장한식 보도본부장의 발표를 보면 참담함이 더욱 깊어진다. 여전히 논란과 반발을 사고 있는 ‘불공정 방송’ 사례를 열거하며 국민 신뢰를 잃은 것이 수신료 위기의 원인이라고 말했다”며 “행정망 마비보다 대통령 동정이 우선이고, ‘대통령 황금마차’를 5분 넘게 중계하고, 메인 뉴스에서 ‘손준성 검사장 5년 구형’ 소식은 빼면서 대통령 김장행사 참석은 보도해 ‘땡윤뉴스’라는 비판을 받는 지금이 과연 공정하고 균형잡히며 권력을 감시하는 뉴스인가”라고 반문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