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지난 26일 윤석열 대통령의 검사 시절 부실수사 의혹을 제기한 전현직 기자들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한 것에 대해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27일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압수수색 등을 무기로한 검찰·경찰의 폭력적 언론탄압을 멈춰야 한다”는 논평을 냈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최근 검찰과 경찰은 전임 수장이었던 윤석열 대통령과 정권에 비판적인 보도를 한 언론과 기자에 대해서 무차별적인 압수수색, 사찰, 구속영장 청구 등 탄압을 이어가고 있다”며 “서울의소리 손배소, UPI뉴스 기자 기소, 뉴스토마토 기자 수사, 시민언론 더탐사, 시민언론 민들레 등 압수수색, 구속영장 청구, 기소, 재판 등에 이어서 최근 뉴스타파, 인터넷신문 리포액트 허재현 대표기자, 경향신문, 뉴스버스 등으로 압수수색과 수사가 확대되면서 언론의 독립성과 자유를 짓밟는 언론탄압이라는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고 했다.

▲ 윤석열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 윤석열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그러면서 “특히 기자의 거주지나 언론사가 압수수색 당하지 않으려면 검찰과 경찰의 눈치 보며 기사를 쓰라고 강요하는 모양새다. 검찰과 경찰이 압수수색을 무기로 ‘비판언론 재갈물리기’, ‘언론과 언론인에 대한 탄압’을 전 방위로 가하는 형국”이라며 “검찰과 경찰은 언론에 재갈을 물리는 압수수색 등을 무기로 한 언론탄압을 즉각 멈춰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수사기관에서 나오는 피의사실을 받아쓰고 수사기관 주장대로 ‘허위’로 규정하는 보도를 문제 삼았다. 

이 단체는 “검찰과 경찰 발로 추정되는 피의 내용을 받아서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일방적 보도로 비판 언론과 기자들을 옥죄는 일부 주류 언론의 행태를 강력하게 비판하고자 한다”며 “이들 주류 언론은 검찰과 경찰의 폭력적인 언론탄압에 부화뇌동하는 보도를 반복하고 언론의 독립성과 자유를 위해 헌신하는 같은 언론인 동료에 대한 고려 없이 검찰의 확성기 노릇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저널리즘 원칙을 저버린 이른바 ‘주류언론사’들은 검찰과 경찰의 압수수색에 대해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당한 뉴스타파, 리포액트, 뉴스버스 등 언론의 보도에 ‘허위보도’라는 낙인을 찍었지만 이들 언론사는 ‘허위보도’의 근거를 단 하나도 제시하지 않았다”며 “검찰과 경찰의 확성기 노릇을 하며 ‘허위보도’ 주장을 일방적으로 유포하는 이른바 ‘주류언론’부터 역사와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아야 할 일”이라고 주장했다. 

▲ 부실수사 의혹에 대해 한겨레는 '윤석열 검증보도'라고 했지만 다른 매체들은 '허위보도'로 표기하고 있다
▲ 부실수사 의혹에 대해 한겨레는 '윤석열 검증보도'라고 했지만 다른 매체들은 '허위보도'로 표기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 특별수사팀은 2021년 10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에 대한 허위보도 관련 정보통신망법 위반(명예훼손) 혐의로 경향신문 전·현직 기자 2명,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 전직 기자 1명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당시 경향신문 전·현직 기자들은 대검 중수부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부실 대출 사건을 수사하면서 대장동 대출 건을 부실 수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부산저축은행 수사의 주임 검사는 윤석열 대검 중수2과장이었다.

뉴스버스는 지난 대선 국면에서 “대검 중수부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 과정에서 대장동 대출 관련 비리 혐의를 잡고 압수수색 등 수사를 진행하고도 은폐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당시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 주임검사는 중수2과장이던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라고 보도했다.

이에 뉴스버스는 지난 26일 입장문을 통해 “압수수색 사유가 해당기사의 ‘허위 보도’ 의혹”이라며 “‘허위 보도’의 근거를 대지도 않았고, 대지도 못했다”고 했다. 뉴스버스는 “고발사주 보도 및 尹 정권 비판보도 재갈물리기 의심”, “검찰, 2011년 대장동 대출 수사 왜 빠졌는지 부터 밝히라”, “대장동 업자들 2014년 진술서 근거 합리적 의혹 제기”, “뉴스버스, 사실충실성에 기반…허위사실 보도 안 해” 등 자사 보도에 관한 입장을 상세히 제시했다. 

뉴스버스 역시 “경향신문과 뉴스버스 전현직 기자들의 압수수색을 보도하면서 ‘허위 보도’ 의혹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기사를 내보냈는데, ‘의혹’이라는 단어로 면죄부 삼아 취재 없이 ‘허위 보도’라는 용어를 함부로 쓰지 않기를 부탁드린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