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를 활용해 그들의 SNS나 후기 데이터를 분석해 수요를 읽는 일이 필요하다. 언론사들도 PR(공중 관계, 홍보) 관점에서 겨냥한 고객이 어떤 집단이며 무엇을 궁금해하는지 들으려 하기만 한다면 엄청나게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다. 그것을 챗GPT로 충분히 할 수 있다.”

김윤경 팬덤퍼널 대표는 25일 미디어오늘이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주최한 ‘2023 미디어의 미래’ 컨퍼런스 ‘AI 시대, 마케팅의 미래’ 세션에서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가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팬넘퍼널은 ‘퍼스널 브랜딩’ 컨설팅 업체다.

김 대표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세 가지 특성에 주목했다. △누구나 일상에서 편하게 쓸 수 있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개인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 무언가를 만들어주는 ‘생성형’ △입력창(프롬프트)에 무엇을 쓰느냐에 따라 답변이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오픈형’이라는 점 등이다. 그는 “생성형 AI는 프롬프트(명령어를 쓰는 창)에 무엇을 입력하느냐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진다”며 “맥락을 제공하고 명령을 잘 진행하면 생성형 AI에서 어마어마한 답변을 가져갈 수 있다”고 했다.

▲김윤경 팬덤퍼널 대표가 25일 미디어오늘이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주최한 ‘2023 미디어의 미래’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미디어오늘
▲김윤경 팬덤퍼널 대표가 25일 미디어오늘이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주최한 ‘2023 미디어의 미래’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미디어오늘

김 대표는 이런 생성형 AI 기능으로 인해 마케팅 전략도 변하고 있다고 했다. 기존의 마케팅 절차가 ‘시장조사-기획-상품과 서비스 개발-가격책정-반응 조사’의 순차적이고 단선적으로 이뤄졌다면, 생성형 AI에 데이터를 입력해 이 순서를 단축하거나 뛰어넘어 분석하는 일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생성형 AI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엄청난 데이터가 있다면 인간이 생각하는 한계를 넘어 인사이트를 준다. 고객을 미리 알고 시장 필요를 예측해 실시간 대응이 가능해지고 성과 분석도 빨라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대화 내용과 시장에 대한 내용 등 기반으로 모든 분야에 생성형 AI가 들어가면서, 명령만 수행하는 게 아니라 대화를 중심으로 고객의 수요를 발견해주고 안내해 준다는 것이 전체 마케팅 절차에 엄청난 변화”라고 말했다.

▲김윤경 팬덤퍼널 대표가 25일 미디어오늘이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주최한 ‘2023 미디어의 미래’ 컨퍼런스 ‘AI 시대, 마케팅의 미래’ 세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미디어오늘
▲김윤경 팬덤퍼널 대표가 25일 미디어오늘이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주최한 ‘2023 미디어의 미래’ 컨퍼런스 ‘AI 시대, 마케팅의 미래’ 세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미디어오늘

그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장을 보는 것과 챗GPT를 통해 소비하는 것을 비교했다. “이커머스에서 ‘쿠션’을 검색하면 네모, 동그라미 방석 등 300개 방석이 나오고 가격을 정리해준다. 이때 회사는 판매자로 느껴진다. 그러나 대화형이라면, 이용자가 ‘허리가 아파서 쿠션이 필요하다’고 말하면 AI가 스트레칭, 영양제, 마음이 편해지는 음악 등 다양한 답을 할 수 있다. 깊은 니즈(수요)를 발견할 수 있는 도구가 되고 새로운 서비스를 기획할 수도 있다.”

김 대표는 언론사들이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해 하나의 대중을 향한 소통이 아니라 이들을 여러 집단으로 나눠 접근할 수 있다고도 했다. 그는 “여러분이 PR(public relations, 공중관계·홍보)에서 퍼블릭(대중)을 쪼갰으면 좋겠다”며 “스마트스토어에서 고객의 후기를 PDF로 다운만 받아서 챗GPT에 올리면 (AI가) 후기의 핵심 내용을 다 정리해 준다. 이들이 어떤 그룹인지 목소리를 들으려고만 한다면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길이 열려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