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다음이 검색 시 콘텐츠제휴(Contents Partner) 언론사 기사만 보여주는 기능을 도입하자 “1300여개 검색제휴사들이 생산하는 뉴스콘텐츠는 뉴스 소비자들에게 배달될 통로가 막혔다”는 비판이 나왔다. 언론 단체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6일 한국기자협회(회장 김동훈)는 <카카오 다음은 CP사 위주의 검색기준 정책을 철회하라> 성명서에서 “수많은 지역언론과 다양한 전문 매체의 뉴스가 독자들에게 제대로 전달될 수 없는 구조로 여론 다양성과 정반대되는 정책이 아닐 수 없으며 포털이 자신들이 원하는 뉴스만 내보내는 구조가 됐다”고 했다.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카카오 본사. ⓒ연합뉴스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카카오 본사. ⓒ연합뉴스

기자협회는 “우리는 다음의 뉴스검색 기본값 변경으로 군소 언론사만 피해를 보는 것에 반대한다”며 “언론사는 기사의 품질로 그 가치를 결정돼야 한다. 다음은 국민의 다양한 알권리를 위해 CP사 위주의 검색기준 정책을 당장 철회하라. 다음의 이번 정책은 민주주의를 후퇴시킨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포털 다음과 네이버가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일방적으로 중단한 것이 징조였고, 정치적인 압력의 영향이라고 의심했다. 지난 5월22일 포털은 제평위 운영위원들에게 갑작스럽게 제평위 잠정 중단 의사를 밝혔다.

기자협회는 “사실 징조는 있었다. 다음의 이런 정책이 나오기 전에 올해부터 포털은 기사의 품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제평위의 활동을 일방적으로 중단했다”며 “정부 비판 보도를 참기 힘들어하는 정부의 입장에서는 포털 노출 기사가 줄어드는 상황을 마다할 이유가 없으니 이 모든 일련의 상황들이 정치적 압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는 합리적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관련 기사 : 압박 못 버티고 사실상 해체된 제평위 “무책임” 지적도]

기자협회는 “다음은 이런 중차대한 정책이 결정되기 전에 각계의 의견을 듣거나 현업 언론단체와 논의도 없었다”면서도 “우리 언론도 자유롭지 못하다. 광고단가를 올리기 위해 포털 입점에 목을 매고, 선정적인 제목과 기사로 트래픽 장사에 몰두했고, 기사형 광고나 기업 비판 보도로 광고를 수주하는 행태 등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먼저 우리 언론의 뼈아픈 반성과 성찰이 따라야 할 것”이라고 했다.

6일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29개 회원사도 공동 명의의 “인터넷을 통해 대부분의 뉴스가 유통되는 현재의 환경에 맞춰, 대형 포털 등의 공적 책무를 한층 강화해야 한다는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다음의 검색 기본값 변경 정책을 비판했다.

대신협은 “뉴스 검색 정책 변경은 앞으로 지역 뉴스의 입지를 더욱 좁아지게 만들어 지역언론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언론을 위기로 내모는 행위”라며 “특히 총선을 앞둔 민감한 시점에 이런 조치를 강행한다면 지역의 다양한 여론과 정치 동향, 현안 등을 알리는 지역 언론들의 언로를 차단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터넷신문사들이 소속된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회원사 27곳과 비회원사 2곳 등 언론사 29곳은 지난 1일 포털 다음이 뉴스검색 결과 기본값을 콘텐츠제휴사(CP)로 제한한 결정을 중단하게 해달라며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에 ‘뉴스 검색서비스 차별 중지’ 가처분을 냈다.

검색제휴는 포털이 전재료를 지급하지 않고 검색 결과에만 노출되는 낮은 단계의 제휴로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다. CP(콘텐츠제휴)는 포털이 언론사의 기사를 구매하는 개념으로 금전적 대가를 제공하는 최상위 제휴다. 포털 검색시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되지 않고 포털 사이트 내 뉴스 페이지에서 기사가 보이면 CP 매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