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메타가 유럽에서 광고 없는 유료 상품을 선보였다. 트위터가 일부 서비스를 유료화한 데 이어 메타가 유료 상품을 출시하면서 소셜미디어 전반이 유료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메타의 유료 상품은 선택지를 제공한 것이고 EU 규제에 대응하는 성격이 강해 세계적으로 유료화가 확대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페이스북 유료화? ‘유료 옵션’ 추가

최근 페이스북이 ‘유료화’를 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확히는 ‘유료화 옵션’을 추가적으로 제공한 것이다. 대상은 유럽 다수 국가에 한해서만 적용한다. ‘유료화 옵션’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월 9.99유로(한화 약 1만4000원)를 내면 광고 없는 서비스 이용을 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다.

▲ 메타는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운영하고 있다. 사진=PIXABAY.
▲ 메타는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운영하고 있다. 사진=PIXABAY.

 

한국도 도입할까

메타는 유럽 이외의 지역에선 도입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7일 한국에도 ‘유료화 옵션’이 도입될 수 있는지 묻자 메타코리아 관계자는 “유료 구독 옵션은 현재 유럽 지역 외 다른 국가에 도입 예정이 없다”고 밝혔다. 

왜 유럽만 도입했을까

메타가 EU에 유료 상품을 우선 도입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메타는 유료 상품을 안내하며 “발전하고 있는 유럽의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11월부터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이용자는 광고와 함께 서비스를 무료로 계속 쓰거나, 광고가 없는 요금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며 “광고 없는 요금제 상품이 유럽 규제기관의 요구 사항과 균형을 이루면서 이용자에게 선택권을 주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페이스북의 일방적인 개인정보 수집은 한국에서도 문제가 됐다. 지난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개인정보를 맞춤형 광고 등에 활용하는 '약관'에 동의하지 않으면 이용을 할 수 없게 하자 시민단체 진보네트워크센터는 정보 제공을 거부하는 온라인 캠페인을 벌였다.
▲ 페이스북의 일방적인 개인정보 수집은 한국에서도 문제가 됐다. 지난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개인정보를 맞춤형 광고 등에 활용하는 '약관'에 동의하지 않으면 이용을 할 수 없게 하자 시민단체 진보네트워크센터는 정보 제공을 거부하는 온라인 캠페인을 벌였다.

EU는 구글과 페이스북 등 미국의 ‘빅테크’ 기업 견제 기조가 강하고 개인정보 규제 수준도 높다. 특히 메타가 타깃 광고를 노출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동의를 제대로 받지 않고 선택권을 주지 않아 과징금을 내거나 소송이 이어지는 등 문제가 됐다. 메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광고 없는 유료 상품을 선택지로 제공하면서 ‘타깃광고 강제’ 문제를 해소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BBC는 10월30일 기사를 통해 “메타는 새로운 구독 서비스는 수익 창출보다는 EU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SNS ‘인증’ 유료화 시도도

규제 대응 성격이 강한 이번 개편과 별개로 소셜미디어 서비스들이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부분적 유료 서비스를 도입하는 추세에 있는 건 사실이다. 유료 이용자에겐 인증 마크를 부여하거나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식이다. 

지난 3월 메타는 미국에서 ‘메타 베리파이드(Meta Verified)’ 서비스를 출시했다. 유명인 공식 인증 마크인 ‘블루 배지’를 일반인에게 적용하는 대신 유료화한 것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용자가 메일이나 챗봇이 아닌 사람이 직접 응대하는 고객지원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앞서 엑스(트위터)는 지난해 일론 머스크 인수 이후 인증 마크인 ‘블루체크’를 유료화했다. 또한 유료 이용자에 한해 ‘긴 트윗’(긴 글) 작성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서비스는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진 못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2월22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기업들은 유료구독 서비스가 새로운 수입원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믿는다”면서 “파워 유저와 달리 대다수의 일반 이용자에겐 넷플릭스 구독료보다 비싼 소셜미디어 구독료가 그만큼의 가치가 없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