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방송광고 결합판매 제도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전국언론노동조합 OBS지부(지부장 박은종)는 방통위의 제도 개선 연구반에서 OBS와 관련한 논의가 배제됐다며 해당 연구 회의에 OBS도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방통위는 2월17일 약 40년여 이어진 방송광고 결합판매 제도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방송광고 결합판매 제도개선 연구반’ 구성도 공식화했다. 특히 방통위는 결합판매제도에 대한 헌법소원 결과와 상관없이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결합판매란 지역, 중소, 종교방송사 등의 광고를 지상파 3사가 결합해 판매하는 제도다. KBS와 MBC 광고 판매를 대행하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는 지역MBC·EBS·CBS 등 종교방송 광고를, SBS 미디어렙(방송광고판매대행사)은 OBS를 비롯한 9개 민영방송 광고를 함께 팔고 있다. 

[관련 기사: 방송 광고 결합판매제도, 위헌 여부 상관없이 무조건 바뀐다 ]

▲OBS 사옥.
▲OBS 사옥.

언론노조 OBS지부는 18일 “시간이 지날수록 광고 매출이 끊임없이 줄어 지역방송이 고사할 수밖에 없는 광고 제도를 가지고 어떻게 좋은 방송을 만들 수 있겠는가”라며 “OBS는 결합판매제도가 도입된 이래 광고 매출 하락에 지속적으로 시달려 왔다”며 제도 변화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OBS 노조 측에 따르면 OBS는 2013년 281억 원이던 매출이 2020년 145억 원으로 줄어들었고 제도 도입 당시 OBS 광고 판매 최소보장 비율은 92%로 매년 8% 매출 감소를 피할 수 없었다고 한다. 

OBS노조는 “방통위는 업계 상황을 대변할 수 있는 관계자들을 연구반에 포함시켰다. 중앙네트워크 방송사는 SBS, 지역방송사는 지역MBC와 지역민방, 중소방송사는 CBS 관계자가 대변한다”며 “그러나 OBS와는 단 한마디 의논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OBS는 엄연히 방송법상 지역방송사에 해당하지만 네트워크에 가입하지 않은 독립방송사이기 때문에 광고 결합 판매 관련법에서는 중소방송사로 분류된다”며 “OBS는 지역민방 회의에도 참석하지 못하고, 라디오 모임에도 초청받지 못한다”고 밝혔다. 

OBS노조는 “거대 미디어 기업만 살아남는 승자독식 사회는 결코 건강할 수 없고 이것이 결합판매제도가 존재하는 이유”라며 “OBS가 연구반 회의에 정례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결합판매 제도개편 방향은 핵심은 미디어 다양성 보호에 있어야 한다”며 “방통위가 행정편의주의적 태도로 일관하며 또다시 경인 지역 시청주권을 외면할 경우 거센 저항에 직면할 것임을 경고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