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취재에 선정된 미디어오늘은 2주 동안 ‘미디어의 미래, 디지털 퍼스트’라는 주제로 미국을 방문해 가장 빠르게 산업 붕괴를 겪고 있는 미디어 업계의 현장을 취재했다. 뉴욕에서는 기존 언론을 누르고 ‘디지털 혁신’을 이끌고 있는 버즈피드와 허핑턴포스트를 만났다. 또한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저널리스트’들을 만나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언론인의 미래상을 물어봤다.
보스턴에서는 하버드 대학교의 ‘니먼 저널리즘 랩’을 방문해 미국 언론의 ‘디지털 교육’과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전망을 들었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직접 뉴스를 생산하지 않지만 ‘뉴스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하는 플립보드와 써카(Circa)를 찾아 새로운 형태의 뉴스 유통 구조를 살펴봤다.<편집자>
 

① “‘디지털 천장’을 깨야 디지털 혁신이 가능하다”-조슈아 벤톤 니먼 저널리즘 랩 소장
② “SNS 공유 안되면 실패한 콘텐츠” - 잭 셰퍼드 버즈피드 디렉터
③-1 기술을 아는 기자, 언론을 이해하는 기술자의 등장
③-2 “무엇을 다루든지 목표는 저널리즘” - 아만다 콕스 뉴욕타임스 그래픽팀 에디터
③-3 “개발은 스토리를 잘 전달하기 위한 도구” - 앨버트 선 뉴욕타임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④ 모바일을 장악한 언론이 뉴스 역사를 새로 쓴다 - 데이비드 콘 써카(Circa) CCO
⑤-1 “디지털 시대, 위기가 아니라 기회가 왔다” - 플립보드
⑤-2 조쉬 퀴트너 ‘플립보드’ 에디토리얼 디렉터
⑥-2 마이크(MIC) 부사장 제임스 알렌, 디렉터 마이클 맥커친 인터뷰 

 

   
 

이달 뉴스 스타트업 버즈피드가 마크 엔드레센이 이끄는 벤처캐피털(Venture Capital·VC) ‘안드레센 호로비츠’로부터 5000만 달러(한화 500억 원)를 투자받은 사실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안드레센 호로비츠의 멤버이자 버즈피드의 이사회에 참여하고 있는 크리스 딕슨은 이 같은 사실을 자신의 블로그에 밝히며 “우리는 현재 뉴스와 오락물(entertainment)이 소셜네트워크에 의해 광범위하게 분배되고 모바일 기기에서 소비되는 거대한 기술 변화의 한 가운데 서 있다. 우리는 버즈피드가 탁월한 미디어 회사로서 이 시기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 소식은 온라인을 고려해오던 신문사 간부들을 치밀어 오르게 하는 일종의 테러”(영국 가디언지)라는 평가를 뒤로 하더라도, 미국 미디어스타트업에 VC의 돈이 몰리는 현상은 하나의 ‘트렌드’로 굳어졌다. 적어도 미국에선 뉴스산업이 더 이상 사양산업이 아니다.

약 4000만 달러의 투자금을 끌어 모아 스포츠전문 웹진 SB 네이션(SB Nation)과 버지(The Verge)를 만든 복스미디어는 지난해 엑셀 파트너스로부터 3400달러를 추가로 투자받았다. 비디오 뉴스 스타트업인 나우디스뉴스(NowThisNews)는 지난해 기존 투자자인 레러벤처스 등으로부터 480만 달러를 추가로 투자받았다. 소셜미디어인 업월씨(Upworthy)도 800만 달러를 투자받았다.

 

   
▲ ⓒ미디어오늘
 
덩치 큰 언론에만 투자가 활발한 건 아니다. 20대를 위한 정치전문 매체인 마이크(MIC)도 창업 3년 만에 1500만 달러는 투자받았다. 이 언론사는 올해 4월 1000만 달러를 투자받았다. (관련기사 <“젊음과 지성이 투자를 이끌어 온 힘”>)

CNN에 따르면 IT전문 미디어인 매셔블(Marshable)은 1월 1300만 달러를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3월 1200만 달러를 투자받았다.

2주간 뉴욕타임스와 같은 기존 신문사부터 모바일 전용 미디어 써카(Circa)까지 만나며 한국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일들이 일어나는 이유를 물어봤다. 지난달 10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만난 마이크로블로그 텀블러(Tumblr)의 창립자이자 써카 사장인 존 말로니는 이런 현상이 나타난 이유를 묻자 “넷스케이프의 공동창립자인 마크 안드레센이 쓴 글을 읽어봤나”라고 말했다.

안드레센은 지난 2월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뉴스의 미래’란 글에서 “1946~2050년 사이 뉴스산업에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독점과 과점이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면서 “신문 잡지 TV뉴스 등의 독과점 구조는 제한된 선택과 매우 높은 가격을 의미했다. 달리 말하면 기존 산업의 비결은 ‘분배에 대한 통제(Control of Distribution)’다”라고 했다.

 

   
▲ 마크 안드레센의 블로그 갈무리
 

하지만 인터넷 시대가 열리면서 세 가지 현상이 일어난다고 했다. 첫째, “분배에 대한 통제가 ‘잠금장치’에서 벗어나 완전히 풀리면서 모두가 창조할 수 있고 분배할 수 있”게 됐다. 둘째, 각각 독립적인 영역을 구축했던 신문, 잡지, 지상파, 케이블TV, 와이어 서비스 (Wired Service) 등이 인터넷 세상에서는 모두 경쟁자로 떠올랐다. 안드레센은 “이 두 가지 현상으로 가격이 내려갔다”로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이 시간 미디어 시장의 규모가 드라마틱하게 커져 10년 혹은 20년 전 보다 뉴스 소비량이 엄청나게 늘었다. 안드레센은 “뉴스 산업에 주어진 엄청난 기회는 향후 5년에서 10년 사이 시장 규모를 100배 커지게 하고 가격은 10분의 1로 떨어뜨릴 것”이라고 했다. 뉴스 산업의 엄청난 성장 가능성이 투자금을 끌어모으고 있다는 것이다.

보스턴에서 만난 ‘조슈아 벤톤’ 니먼 저널리즘 랩 연구소장도 “성장 잠재성이 있기 때문”이라면서 “온라인에서는 독자가 늘어나도 서버 비용을 제외하고는 발행 비용이 늘지 않고, 그대로 수익으로 이어진다. 이들은 앞으로도 더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VC인 레러벤처스의 에릭 히포(Eric Hippeau)도 지난 3월 쿼츠(Quartz)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의 일반적인 관점은 뉴스는 성장하는 산업이라는 것”이라면서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예전보다 뉴스에 접근하고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기 쉬워졌다”고 말했다.

※ 이 기획취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습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