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오늘은 2주 동안 ‘미디어의 미래, 디지털 퍼스트’라는 주제로 미국을 방문해 가장 빠르게 산업 붕괴를 겪고 있는 미디어 업계의 현장을 취재했다. 뉴욕에서는 기존 언론을 누르고 ‘디지털 혁신’을 이끌고 있는 버즈피드와 허핑턴포스트를 만났다. 또한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저널리스트’들을 만나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언론인의 미래상을 물어봤다.

보스턴에서는 하버드 대학교의 ‘니먼 저널리즘 랩’을 방문해 미국 언론의 ‘디지털 교육’과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전망을 들었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직접 뉴스를 생산하지 않지만 ‘뉴스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하는 플립보드와 써카(Circa)를 찾아 새로운 형태의 뉴스 유통 구조를 살펴봤다. <편집자>

①“‘디지털 천장’을 깨야 디지털 혁신이 가능하다”-조슈아 벤톤 니먼 저널리즘 랩 소장
②“SNS 공유 안되면 실패한 콘텐츠” - 잭 셰퍼드 버즈피드 디렉터
③-2 “무엇을 다루든지 목표는 저널리즘” - 아만다 콕스 뉴욕타임스 그래픽팀 에디터
③-3 “개발은 스토리를 잘 전달하기 위한 도구” - 앨버트 선 뉴욕타임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2012년 12월 나온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사’ 스노우폴(Snowfall)은 독자들에게 전혀 새로운 경험을 제공했다. 텍스트 위주로 이루어진 기존 종이신문 기사형태를 벗어나,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기사를 선보였기 때문이다.

뒤따라 가디언 등 유수의 언론이 ‘파이어 스톰’ 등과 같은 기사를 내놨고, 지난해 말부터 한국에서도 조선일보, 한겨레, 매일경제 등이 동참하고 있다. 이처럼 언론사들은 인터랙티브한 그래픽, 영상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활용해 독자들이 좀 더 실감나게 스토리에 몰입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관련기사 : 디지털 스토리텔링, 한국 온라인 저널리즘을 바꿀까]

 

 

   
▲ 뉴욕타임스 스노우폴(Snowfall).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가 열립니다.) 이미지=뉴욕타임스 사이트 갈무리.
 

이런 시도는 언론사에 새로운 흐름을 만들고 있다. 개발자, 디자이너와 같은 디지털 기술자들을 적극적으로 뉴스룸(편집국)에 채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뉴욕타임스와 가디언 등 영미권 언론사들은 수십명으로 이루어진 인터랙티브팀을 운영하면서 새로운 기사 형태를 시도하고 있다.

복스나 버즈피드 등 기술 기반의 ‘디지털 언론사’들은 더 적극적이다. 종이신문 제작, 배달이라는 과정이 없는 이들은 검색최적화(SEO)나 소셜미디어 등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CMS를 만들었다. 수년 전부터 기성 언론사들의 트래픽을 뛰어넘은 이들의 성공 배경엔 수준 높은 개발자, 디자이너, 데이터 분석가들이 자리하고 있다.

허핑턴포스트와 버즈피드가 짧은 기간 안에 빠르게 영국, 독일 등 세계 각국에 지사를 낼 수 있는 것도 이들이 만든 훌륭한 CMS(콘텐츠 관리 시스템)가 바탕이 됐다. 뛰어난 기술자들은 디지털 시대의 언론사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가 됐다. 전체 직원이 440여명인 버즈피드엔 개발을 담당하는 인원만 40여명(약 9%)이며, 별도 데이터 분석팀(10여명)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기자직군들과 동등하고 원활하게 소통하면서 새로운 디지털 스토리텔링 시대를 열고 있다.

 

 

 

 

   
▲ 미국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버즈피드(Buzzfeed) 뉴스룸. 사진=김병철 기자.
 

미미하지만 한국에서도 이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올해 창간 60주년을 맞이한 한국일보는 ‘디지털 퍼스트’를 주창하며 처음으로 디자이너와 개발자를 채용했다. 언론사의 디지털 전환이 빨라질수록 이런 ‘디지털 저널리스트’들의 채용도 늘어날 것을 보인다. [관련기사 : ‘트래픽’ 대신 ‘브랜드’ 선택한 한국일보]

스스로 ‘디지털 저널리스트’로 진화하는 기자들도 등장하고 있다. 편집부장을 역임했던 김동현 민중의소리 뉴미디어부장은 직접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운영하고 있다. 올 초부터 선보인 디지털 스토리텔링 뉴스도 ‘구글링’으로 배우면서 템플릿을 만들었다. 김동인 시사인 기자도 지난해 11월 시사인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안희태 기자와 함께 ‘응답하라 7452’라는 마이크로 사이트를 만들어 ‘크라우드 저널리즘’을 선보였다.

이성규 블로터닷넷 매거진팀 팀장은 “인터랙티브 저널리스트 즉 기술적 표현 수단을 통해 저널리즘 실천할 수 있는 새로운 세대의 기자 모델을 (언론사)채용 구조 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뉴욕타임스 홈페이지 채용란에 적혀있는 ‘Great Journalism + Innovative Technology = Remarkable Opportunities’라는 슬로건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뉴욕타임스 채용 사이트에 적혀있는 슬로건. ‘Great Journalism + Innovative Technology = Remarkable Opportunities’. 이미지=뉴욕타임스 사이트 갈무리.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