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의 기획취재에 선정된 미디어오늘은 2주 동안 ‘미디어의 미래, 디지털 퍼스트’라는 주제로 미국을 방문해 가장 빠르게 산업 붕괴를 겪고 있는 미디어 업계의 현장을 취재했다. 뉴욕에서는 기존 언론을 누르고 ‘디지털 혁신’을 이끌고 있는 버즈피드와 허핑턴포스트를 만났다. 또한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저널리스트’들을 만나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언론인의 미래상을 물어봤다.

보스턴에서는 하버드 대학교의 ‘니먼 저널리즘 랩’을 방문해 미국 언론의 ‘디지털 교육’과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전망을 들었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직접 뉴스를 생산하지 않지만 ‘뉴스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하는 플립보드와 써카(Circa)를 찾아 새로운 형태의 뉴스 유통 구조를 살펴봤다. <편집자>

① “‘디지털 천장’을 깨야 디지털 혁신이 가능하다”-조슈아 벤톤 니먼 저널리즘 랩 소장
② “SNS 공유 안되면 실패한 콘텐츠” - 잭 셰퍼드 버즈피드 디렉터
③-1 기술을 아는 기자, 언론을 이해하는 기술자의 등장
③-2 “무엇을 다루든지 목표는 저널리즘” - 아만다 콕스 뉴욕타임스 그래픽팀 에디터
③-3 “개발은 스토리를 잘 전달하기 위한 도구” - 앨버트 선 뉴욕타임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④ 모바일을 장악한 언론이 뉴스 역사를 새로 쓴다 - 데이비드 콘 ‘써카’ CCO
⑤-2 “뉴스가 이렇게 각광 받는 시대가 있었나” - 조쉬 퀴트너 ‘플립보드’ 에디토리얼 디렉터

 

 

   
▲ 이용자가 관심주제를 선정하면 플립보드는 이용자가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추천해준다. 이미지=플립보드 사이트 갈무리.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매체도 많아지고 즐길 콘텐츠도 늘어났다. 많은 독자들은 더 이상 뉴스를 얻기 위해서 언론사를 찾지 않는다. 이제 페이스북, 트위터, 플립보드와 같은 소셜미디어가 ‘콘텐츠 플랫폼’ 역할을 대신한다.

이중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라면, 플립보드는 ‘큐레이션 매체’라고 구분할 수 있다. ‘소셜 매거진’ 콘셉트로 시작한 플립보드는 신문·잡지사의 콘텐츠를 디지털 공간에서 좀 더 익숙하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이용자가 입력한 관심주제에 따라 콘텐츠를 추천(큐레이션)하는 게 플립보드의 특장점이다.

플립보드의 직원은 약 150여명이다. 직원의 다수인 디자이너, 개발자(약 75~90명)가 미국 캘리포니아 본사에 있으며, 영업·마케팅을 담당하는 소수 직원들이 뉴욕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다. 편집(Editorial)관련 업무를 하는 건 6명 정도가 전부다. 이들의 업무도 언론사 편집업무와는 다르며 마케팅 성격이 더 강하다.

 

 

 

 

   
▲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플립보드 사무실 내부. 사진=김병철 기자.
 

플립보드는 ‘유통 플랫폼’이자 ‘큐레이션 매체’이기 때문에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약 7명의 디자이너(Co-designer)들은 플립보드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휴 언론사’의 디자인을 본떠 템플릿을 제작한다. 예를 들어 이들이 뉴욕타임스의 레이아웃, 스타일, 글꼴이 들어간 템플릿을 만들어 두면, 뉴욕타임스는 ‘RSS 피드’를 이용해 플립보드에 기사를 보내는 방식이다. 덕분에 독자들은 플립보드에서 뉴욕타임스를 읽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개발자들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알고리즘을 만들어 플립보드의 큐레이션을 구현한다. 커버스토리는 이용자가 입력한 관심주제에 따라 달라지며, 이용자가 플립보드와 연동된 페이스북, 트위터에서 하는 활동(좋아요, 리트윗) 등에 따라서도 변경된다. 만약 두 사람이 똑같은 관심주제를 선택했더라도, 소셜미디어 활동에 따라 커버스토리 내용이 달라지는 것이다. 플립보드의 조쉬 퀴트너 에디토리얼 디렉터는 “우리는 독자와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해 독자의 또 다른 관심사가 무엇인지 찾아서 추천한다”고 말했다.

 

 

 

 

   
▲ 플립보드의 조쉬 퀴트너 에디토리얼 디렉터가 미디어오늘 취재진에게 플립보드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조수경 기자.
 

커버스토리와 달리 플립보드의 영어 뉴스섹션(①뉴스, ②비즈니스, ③스포츠, ④테크, ⑤연예, ⑥정치)은 모두 똑같다. ‘다음 뉴스’와 같이 플립보드가 중요한 기사를 실시간 추려서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 조쉬는 “편집자들은 크리에이팅(Creating)이 아니라 큐레이팅(Curating)을 한다”고 말했다. 언어마다 다르지만, 영어 버전의 경우 전 세계 20~25명의 프리랜서 편집자(Curator on Duty)가 돌아가면서 뉴스섹션을 편집한다. 시차에 따라 미국-중국-영국의 프리랜서들이 교대로 편집을 하기 때문에 플립보드 영어 뉴스섹션은 24시간 편집이 가능하다. 다만 제휴 기사가 적은 아시아권에선 24시간 편집을 하지는 않는다.

프리랜서 편집자들은 플립보드 에디토리얼팀의 지휘를 받지만, 편집권은 상당히 자유로운 편이다. 이들은 자신의 판단에 따라 뉴스섹션을 편집할 수 있으며, 플립보드가 최종 데스킹을 하지는 않는다. 조쉬는 “우리는 프리랜서 편집자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교육한다. 가끔 이메일을 보내서 편집 이유를 묻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우리는 그들을 믿는다”고 말했다. 플립보드는 대학을 막 졸업한 ‘취준생’에게 영어 프리랜서 편집자를 맡기는 경우도 있어서 이들의 업무 기간은 짧은 편이라는 게 조쉬의 설명이다.

 

 

 

 

   
▲ 플립보드 이용자는 여러 콘텐츠를 모아서 자신만의 '매거진(잡지)'를 만들 수 있다. 이미지=플립보드 사이트 갈무리.
 

언론사 섹션은 해당 언론사가 직접 편집한다. 예를 들어 플립보드 내 뉴욕타임스에 들어가면 뉴욕타임스가 ‘RSS 피드’로 보낸 순서대로 기사가 배치된다. 일반적인 ‘RSS 리더’와 같다고 보면 된다. 플립보드에 발행하는 기사의 범위는 계약조건에 따라 다르다. 조쉬는 “규모가 있는 언론사들은 하루에 400개 정도의 스토리(기사)를 모두 보내기도 하며, 통상 한 언론사가 하루에 30~40개의 스토리를 만든다”고 설명했다.

플립보드의 수익모델은 두 가지 광고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화면을 꽉 채우는 ‘풀 페이지 광고’로, 오프라인 잡지 광고와 같이 뉴스 페이지 중간에 들어가 있다. 또 하나는 기업이 운영하는 ‘브랜드 매거진’이다. 플립보드에선 누구나 여러 콘텐츠를 모아서 자신만의 매거진(잡지)을 제작할 수 있다. 조쉬는 “많은 이들이 (기업이 만든)브랜드 매거진을 구독(팔로우)한다”며 “독자들이 직접 손들고 광고를 구독하는 건 흔하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플립보드와 해당 기업은 ‘브랜드 매거진’에 게재되는 광고의 수익을 일정한 비율로 분배한다. 비율은 광고를 어느 쪽에서 수주했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플립보드의 ‘크리스텔 반 데르 붐’ 홍보담당자는 “언론사가 광고를 수주하면 언론사가 더 많이 가져가고, 플립보드가 수주한 광고라면 플립보드가 더 많이 가져간다”고 설명했다.

 

 

 

 

   
▲ 플립보드 공동창립자 에반 돌(Evan Doll). 사진=김병철 기자.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