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다음이 검색 시 콘텐츠제휴(Content Partner, CP사) 언론사 기사를 우선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도입하자 “뉴스 검색 기본값을 전체 언론사에서 보수적 주류 CP사 위주로 변경한 다음의 행태는 뉴스 이용자들의 ‘보편적 서비스’ 이용에 중대한 제약을 가져온 뉴스검열 쿠데타”라고 비판했다.

▲ 카카오 판교아지트. ⓒ 연합뉴스
▲ 카카오 판교아지트. ⓒ 연합뉴스

24일 오전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인터넷언론과 뉴스여론을 통제하는 다음카카오를 강력 규탄한다!> 제목의 성명을 통해 △다음은 뉴스 검색 기본값을 ‘전체 언론사’로 복구할 것 △뉴스검열 통제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 △여야 국회 정치권은 다음의 뉴스 검색 보편적 서비스 파괴 행위에 대해 진상을 규명하고 원상회복 조치를 촉구할 것 등을 주장했다.

인터넷기자협회는 “검색 서비스 사업자가 스스로 검색 양을 축소한 행위는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용자들의 검색 양이 많아야 더 큰 이윤 창출이 이루어지는 것은 설명할 필요가 없는 일이다. 검색 정보량을 축소하게 되면 검색 신뢰도를 스스로 떨어뜨려 사업 기반을 무너뜨리는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다음의 뉴스 화면에 콘텐츠를 직접 제공하는 146개 언론사는 다음으로부터 콘텐츠 전재 비용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2일 다음은 <뉴스검색 설정 기능을 새롭게 제공한다> 제목의 공지에서 뉴스 검색 서비스 기본값을 전체 언론사에서 CP사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5월 다음은 ‘다음뉴스 보기’ 탭을 누르면 CP사 기사만을 보여주는 기능을 도입했는데, 6개월 만에 검색 기본값으로 CP사 기사를 보여주기로 결정한 것. 대신 전체 언론사를 볼 수 있는 ‘전체’ 옵션 탭을 추가하기로 했다.

▲22일 개편한 다음 검색 화면 갈무리.
▲22일 개편한 다음 검색 화면 갈무리.

다음이 뉴스검색 정책을 변경한 당일인 지난 22일 다음의 모기업인 카카오 사옥이 압수수색당한 사실을 언급했다. 인터넷기자협회는 “다음의 뉴스 검색 기본값을 전체 언론사에서 CP사로 변경한 것은 카카오 사주 구하기, 정권의 입맛 맞추기가 아니냐는 합리적 의구심이 광범위하게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인터넷기자협회는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과 류희림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의 인터넷신문 검열(심의) 주장 등은 현 정권이 비판적인 인터넷언론 등을 그냥 두지 않겠다는 속내의 반영이나 다름없다. 민간독립기구라는 방심위의 위상은 정권의 언론검열통제기구로 추락했으며, 그 구성원들은 깊은 자괴감에 빠져 있다”고 주장했다.

인터넷기자협회는 이어 “다음의 자체적인 뉴스 검색 결과값 축소는 비판 인터넷언론 노출을 줄이려는 권력의 이익과 부합한다. 다음의 사주 김범수 등을 구하기 위한 굴욕적인 합작품이라는 세간의 비판에 대해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며 “국민의 뉴스 검색을 사전 통제하고, 보편적 서비스 이용권을 박탈한 다음카카오의 뉴스 검색 기본값 변경을 강력 규탄한다”고 밝혔다.

[관련 기사 : 포털 다음, 뉴스 검색 서비스 기본값 ‘콘텐츠제휴’ 언론사로 변경]
[관련 기사 : 네이버, 콘텐츠제휴 언론만 검색하는 기능 왜 도입했을까]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