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제6기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지명된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가 1일 오전 과천정부청사 방통위 인근에 마련된 후보자 사무소로 출근했다. 이날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는 “언론탄압 논란 부분에 대해서만 한 말씀 드리겠다. 반드시 말하고 싶은 건 언론은 장악될 수도 없고, 장악돼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동관 후보자는 “다만 자유에는 반드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그래서 무책임하게 가짜 뉴스를 퍼 나른다든가 특정 진영의 정파적인 이해에 바탕한 논리나 주장을 무책임하게 전달하는 건 언론 본 영역에서 이탈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어떤 정당이나 특히 과거 선전 선동을 굉장히 능수 능란하게 했던 공산당의 신문 방송을 우리가 언론이라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건 사실이나 진실을 전달하는 게 아니라 주장이라고 한다. 그걸 기관지 내지 영어로 얘기하면 오건(organ)이라고 한다”고 말했다.

‘아들 학폭 논란’에 대해 이동관 후보자는 “팩트에 입각해 소상히 말씀드릴 것”이라고만 밝혔고, 최근 불거진 과거 이동관 후보자의 배우자 청탁 의혹에 대해서는 “두 줄로 요약된다. 돈 돌려줬고, 제가 신고했고 수사가 시작됐다. 나머지는 필요하면 설명하겠다”고 밝히고 떠났다.
다음은 이동관 후보자 지명 소감 및 일문일답 전문.
이동관= 첫 출근이기도 하고 방통위에서 나와서 서로 인사도 하고 격려하기 위해서 이렇게 나왔다. 최근 저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언론탄압 논란 부분에 대해서만 한 말씀 드리겠다. 잘 알다시피 저는 20여 년 이상 언론계 종사한 언론인 출신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 자유라고 하는 것이 자유민주 헌정질서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해왔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최근 벌어지고 있는 언론장악 논란에 대해서 아쉬움도 있고 안타까움도 있습니다만, 반드시 말하고 싶은 건 언론은 장악될 수도 없고, 장악돼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자유에는 반드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그래서 무책임하게 가짜 뉴스를 퍼 나른다든가 특정 진영의 정파적인 이해에 바탕한 논리나 주장을 무책임하게 전달하는 건 언론 본 영역에서 이탈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정당이나 특히 과거 선전 선동을 굉장히 능수 능란하게 했던 공산당의 신문 방송을 우리가 언론이라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건 사실이나 진실을 전달하는 게 아니라 주장이라고 한다. 그걸 기관지 내지 영어로 얘기하면 오건(organ)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저희가 자유민주 헌정질서 속에서 언론 자유를 누리는 언론이라고 하는 것은 반드시 책임 있는 보도 해야 한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다. 엊그제 지명받으면서 말씀드렸던 공정한 언론 생태계는 그런 뜻에서 말씀드리는 것이다.
한 말씀만 더 보태면 이른바 2017년 전후 벌어졌던 당시 적폐청산이라고 당시에 이름을 붙였습니다만, 거의 광풍처럼 몰아쳤던 그래서 저희가 흔히 조선시대 사화라고까지 이야기했다. 그런 가운데서 제가 만약 언론을 장악하기 위해서 어떤 지시 또 실행 그리고 분명한 결과가 나왔다면 제가 오늘 이 자리에 설 수 있었겠는가. 나머지 자세한 이야기는 청문회에서 소상하게 겸허하게 말씀하겠다.
기자= 청문 과정 관련해 여쭈고파.
이동관= 하나만 (웃음)
기자= 아들 학폭 등 논란 있는데 어떻게 설명할 건가.
이동관= 제가 말씀드린 대로 성실하게 정확하게 팩트 입각해서 소명하겠다.
기자= 하나만 더 하면 공산당 언론이 소위 기관지지 언론 아니라 했다. 후보자님이 보시기에는 그런 소위 기관지 같은 언론이 지금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어떤 언론이 좀 그런 언론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이동관= 그건 이제 국민이 판단하시고 잘 아시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적어도 언론의 영역이란 건 검증하고 의심하고 확인해서 그래도 최대한의 객관적 공정한 진실 전달하는 게 본연 역할 아니겠냐. 제가 얘기하는 것도 여러분이 의심하고 검증해라. 거기까지만 하시죠.
기자= 질문 하나 더하겠다. 이틀 전 부인 인사청탁 의혹에 대해 입장 냈다. 청탁 시도 알고 나서 즉시 돌려주고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신고했다고 입장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언제 어떻게 구체적으로 누구에게 신고했는지 설명이 없다.
관련기사
이동관= 소명할 사항은 아니다. 실체적 진실은 아주 간단하다. 부정청탁을 하기 위해 사실은 전달받은 돈인지 모르고 기념품이라고 받은 것을 바로 거의 즉시 돌려줬다는 거다. 그날 밤이냐 다음 날이냐 이런 건 10년 전 일이기 때문에 착오가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분명히 그날 밤에 제가 귀가하니까 저희 집사람이 그런 이야기 하길래 당장 가서 돌려주라고 했다. 그 부근에 살고 있었다. 그래서 다음 날 제가 출근해서 민정 쪽에 누구한테 이야기했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제가 공직 감찰받는 그래도 청와대의 고위 직책이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이런 일이 있었다고 했더니 그쪽에서 뭔가 조치했다. 그래서 수사가 시작됐고, 처벌됐고, 거기에 제가 어떤 책임을 져야 하나? 지금 논란이라고 하는 것도 매우 지엽 말단적인 얘기를 갖고 이야기하는 것이고 이 사실의 전말은 처음부터 끝까지 간단한 거다. 두 줄로 요약된다. 돈 돌려줬고, 제가 신고했고 수사가 시작됐다. 나머지는 필요하면 설명하겠다. 수고하세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