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조선이 의뢰한 자사 보도·시사 프로그램 공정성 관련 연구에서 정치 이슈 비중이 높고 야권보다는 여권에 우호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두 학회의 연구진이 각각 진행한 연구 결과 모두 ‘공정한 보도’의 개념과 평가의 한계를 지적하기도 했다.

TV조선은 지난달 홈페이지에 한국방송학회, 한국미디어정책학회가 진행한 ‘TV조선 시사·보도프로그램 공적책임, 공정성 진단 결과’ 보고서를 공개했다. TV조선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재승인 조건에 따라 외부 전문기관의 관련 진단 결과를 방통위에 제출해야 한다.

한국방송학회는 지난해 1월~10월 방영된 TV조선 뉴스 프로그램 1155건(3384분)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관련 보고서에서 TV 조선 ‘뉴스9’ ‘뉴스7’ ‘뉴스퍼레이드’ ‘뉴스현장’ ‘네트워크 매거진’ 등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분기의 첫 번째 달을 표집 선정해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편향성 지표’를 기준으로 TV조선 시사·보도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정부·여당·여권(여권) 또는 야당·야권(야권)에 우호·불리로 분류 어려움’ 항목에 해당하는 비중이 전체 32.1%로 가장 높았다. ‘대체로 여권에 우호적이고 야권에 불리’한 경우는 25.5%로, ‘대체로 야권에 우호적이고 여권에 불리’한 16.5%에 비해 다소 높다.

▲한국방송학회 'TV조선 뉴스프로그램 공적책임·공정성 연구' 보고서 중 '기자리포트 편향성'
▲한국방송학회 'TV조선 뉴스프로그램 공적책임·공정성 연구' 보고서 중 '기자리포트 편향성'

기자 리포트의 경우 과반인 52.7%가 ‘여권 및 야권에 동일하게 우호적이거나 유리한 멘트 혹은 분류하기 어려운 멘트’로 나타났다. 기자 리포트에 논평이 포함된 경우는 정치 관련 51.3%, 비정치 관련 33.0%로 “정치 관련 보도의 기자리포트에 보다 많은 기자의 의견이 포함되어 수용자에게 전달”됐다는 분석이다.

앵커브리핑 21건을 분석한 결과로는 전체 아이템의 61.9%가 ‘국내정치’, 14.3%가 ‘사회’ 분야로 집계됐다. 방송학회 연구진은 앵커브리핑 관련 우호적 37.6%, 야권 우호적 37.5%, 중립적 25%로 “균형 잡힌 분포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했다. 단 앵커 브리핑은 분석 건수가 매우 작으므로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는 설명이 달렸다.

▲ TV조선 사옥.
▲ TV조선 사옥.

한국미디어정책학회의 경우 지난해 1월~10월 중 재보궐선거 전후가 포함된 1, 4, 7, 10월 ‘탐사보도 세븐’ ‘신통방통’ ‘사건파일24’ ‘보도본부 핫라인’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 ‘박정훈의 정치다’ ‘강적들’ 등 7개 시사·보도프로그램을 분석했다.

이 기간 분석 대상 프로그램들이 다룬 아이템의 54.4%는 ‘국내 정치’로 집중됐다. 프로그램별 국내 정치 보도 비중은 ‘박정훈의 정치다’ 100%, ‘신통방통’ 94.7%,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 78.6%, ‘강적들’ 47.1%, ‘사건파일’ 17.5%, ‘탐사보도 세븐’ 10.0% 순이다.

해당 프로그램을 6단계의 편향성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탐사보도 세븐’은 90.0%, ‘사건파일24’는 68.4%가 ‘해당사항 없음’으로 분류됐다. ‘보도본부 핫라인’의 32.1%,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 ‘박정훈의 정치다’의 42.1%는 ‘유불리 판단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신통방통’은 ‘분명히 여권에 우호적인 아이템’이 47.4%다.

아이템 선정 편향성 분석 결과로는 여권 우호적 37.3%, 야권 우호적 7.8%로 나타난 가운데 유불리 판단 어려움(32.0%), 해당 사항 없음(23.3%)으로 분류된 경우도 상당 비중을 차지했다.

▲한국미디어정책학회 'TV조선 시사보도 프로그램 공정성 보고서' 중 '시사보도 프로그램 아이템 성격'
▲한국미디어정책학회 'TV조선 시사보도 프로그램 공정성 보고서' 중 '시사보도 프로그램 아이템 성격'

패널의 경우 TV조선 소속 기자가 28.0%로 가장 많았고 여당 인사 17.8%, 야당 인사 16.2%, 전·현 보수신문 기자 6.2%, 전·현 진보 신문 기자 0.6%로 나타났다. 

미디어학회 보고서는 패널 분류 관련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의 경우 과거 민주당 계열 소속을 전 소속으로 표기했으나 최근에는 여당 인사들과 활발히 활동하거나 프로그램 진행 중 여당에서 보직을 받게 되어 소속이 야당에서 여당으로 변경된 경우가 있었다”며 “겉보기에는 패널의 성향이 여야간 균형이 맞아보이지만 실제 성향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경우가 종종 발견되었다. 따라서 패널의 성향을 일관적으로 현직 또는 직전 소속을 기준으로 표기하는 일관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두 보고서는 모두 ‘공정성 평가’의 한계를 언급했다. 방송학회 보고서는 “정치적 사실에 대해 ‘의견 없이’ 중립적으로 전달하는 보도가 공정한 보도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며 “본 보고서는 ‘낮은’ 편향성 지수와 ‘높은’ 비편향률을 ‘바람직하고 지향할 지점’인가에 대한 가치적 판단은 하지 않았으며 학문적 관점에 따라 ‘높은’ 편향성 지수와 ‘낮은’ 비편향률이 미래 지향적 보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추후 연구에서는 공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추가적 지표 개발이 필요”하고 “나아가 방송매체의 공정성은 ‘비정치 관련 이슈’에서도 지켜져야 할 가치이기 때문에 분석 대상을 가능한 한 넓게 적용할 필요”도 있다고 했다.

미디어정책학회 보고서의 경우 “공정성이 방송의 모든 면을 대변할 수 없는 만큼, 환경감시 기능과 다양성 추구, 공익성과 시청자복지를 달성하는 데 방송을 평가할 때는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며 “공정성을 평가할 때도 주무부처, 학계, 방송 시간의 공정성에 대한 개념의 합의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유연하지 못한 기준으로 공정성을 평가하면 자칫 공정성이 다른 가치들을 제한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아직도 계속 논의해야 할 과제”라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