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미디어오늘 이우림.
▲디자인=미디어오늘 이우림.

고 김세은 강원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의 2017년 논문 <한국 ‘폴리널리스트’의 특성과 변화>에 따르면 제헌국회부터 20대 국회까지 언론인 출신 국회의원들은 모두 377명이었다. 21대 언론인 출신 의원 24명을 더하면 401명이다. 논문에 따르면 언론인 출신 국회의원 비율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한국이 높은 편이라고 한다. 낙선해도 다시 언론계로 돌아오는 사례가 눈에 보이니 당장 출마자부터 많을 수밖에 없다. 

모두에게는 직업선택의 자유가 있고 언론인도 예외는 아니지만 기사나 칼럼을 쓰다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다 적당한 기간 없이 정치권으로 직행하면 언론 활동의 ‘목적’을 의심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언론계 전체의 신뢰를 좀먹는 결과로 이어진다. 

22대 총선에서도 폴리널리스트 비판을 받는 언론인 출신 후보들이 등장했다. 선배의 직행에 후배들이 비판하는 성명을 주도하면, 선배는 ‘비판을 이해한다’고 답하는 일이 반복된다. 언론계 비판은 타격감 없는 하나의 장식이 되어버린 것 같다. 비판 성명에 뜻을 같이했던 후배들이 선배가 되면 그 길을 따라가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인지 언론계 스스로 폴리널리스트의 기준을 만드는 논의는 더디기만 하다.

이런 가운데 심석태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 교수의 제안은 반갑다. 심 교수는 언론 활동과 공개적 정치활동의 간격은 6개월 정도가 적정하다며 이런 기준을 언론계가 공동 채택하자고 했다. 언론단체들과 언론사들이 논의에 참여해 6개월이든 3개월이든 1년이든 공통의 폴리널리스트 기준을 만들고, 지키겠다고 독자와 시청자 앞에 약속해야 한다. 그러지 않고서는 ‘정치권 가려고 기사 쓴다’는 불신을 걷어낼 수 없다. 나아가 정치권에서 실패해 다시 언론계에 돌아오려는 전직 언론인들에 대해서도 합의된 수용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갖은 유혹에도 자신의 자리를 지킨 언론인들과, 그들을 응원한 시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