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희림 방송통신심의위원장. ⓒ연합뉴스
▲류희림 방송통신심의위원장. ⓒ연합뉴스

대통령 연설을 짜깁기한 권력 풍자 영상은 접속 차단된다. 일기예보에서 파란색 숫자 ‘1’ 이미지를 크게 키웠다가는 긴급 심의 요청이 이뤄진다. 김건희 특검법을 부를 때 ‘여사’를 안 붙이면 행정지도를 받는다. 똑같이 ‘바이든’으로 보도해도 머리 숙이고 사과하지 않으면 과징금을 받는다. 문재인정부를 신랄하게 비판하던 진중권씨까지 편향적이라며 중징계를 받는다. 대통령‧여당 추천 방송통신심의위원과 여권으로 분류되는 선거방송심의위원들은 자신들의 판단이 가져올 후폭풍이 두렵지 않나 보다.

보수신문도 후폭풍을 감지했다. 동아일보는 5일 사설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이라 해야 옳았다는 건가”라고 되물으며 “이러다간 방심위와 선방위 모두 심기경호위란 소릴 듣게 될 것”이라 했다. 조선일보는 4일 사설에서 “권력이 정부 기관을 동원해 언론을 통제하려는 것처럼 비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며 “정부의 방송 대응은 점점 전 정권을 닮아간다”고 했다. 특히 조선일보가 현 방심위를 문재인정부 방심위와 비교한 대목에선 류희림 방심위의 행보가 총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안하게 바라보는 보수진영의 심리를 엿볼 수 있다. 

모든 일의 발단이 류희림 방심위원장에서 출발했다. 대통령이 무리하게 김유진 방심위원을 해촉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류희림 위원장의 민원 사주 의혹 탓이었다. ‘해촉이 부당했다’는 유례없는 법적 판단 속에 김 위원은 업무에 복귀했다. 방심위 안팎에서 류 위원장에 대한 판단은 끝났다. 나가도 너무 막 나갔다. 정부여당과 방심위는 조선·동아의 우려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