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카카오 아지트. ⓒ 연합뉴스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카카오 아지트. ⓒ 연합뉴스

전국언론노동조합이 포털사이트 다음(카카오)의 콘텐츠제휴(CP)사 위주 검색기준 도입이 “검색 쿠데타”라며 철회를 요구했다. 다음의 CP사는 약 150개, 검색제휴사는 약 1100개다. 다음은 지난 22일 뉴스 검색페이지에서 CP언론사만 검색되도록 기준을 변경했는데 언론노조는 “보수 재벌언론과 정부 여당에 이익을 주는 검색제휴 중단”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언론노조는 30일 성명에서 이번 사건을 가리켜 “뉴스 이용자에게 150개 언론사 뉴스만 보라는 거다. 수백 개 지역 언론, 장애인·소수자 등 다양한 전문 매체 뉴스가 이용자에게 유통되기 전에 ‘폐기’되는 셈이다. 그곳 종사자들이 취재·보도·편집에 들인 노동도 허무하게 ‘증발’한다”며 “다음은 정치적 중립을 위해 이용자의 정보 접근권을 향상시키고, 이용자 주도적인 정보소비를 돕겠다는 ‘다음뉴스서비스 운영원칙’도 스스로 씹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언론노조는 “다음이 이용자와 뉴스 소비 개선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언론노조·기자협회 등 현업 단체 논의나 사용자단체와 협의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으며 “그간 네이버와 다음은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앞세워 CP사-뉴스스탠드사-뉴스 검색제휴사라는 진입장벽을 만들어 왔다. 이런 벽에도 모자라 1000여 매체 기사를 검색 결과에서 배제한 것은 정부의 직접규제보다 더한 과잉규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종편으로 수익과 영향력을 늘린 보수 언론재벌이 디지털 뉴스 생태계마저 독식하는 건 이제 시간문제”라며 “보수 언론재벌에 몰리는 이용자의 뉴스 소비는 다가올 총선에 든든한 아군이 될 것이라는 망상에 빠진 대통령과 여당에 이만한 선물이 어디 있겠는가”라고 물으며 이번 사건에 정치적 배경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앞서 지난 24일 한국인터넷신문협회도 성명을 내고 “국민들의 다양한 뉴스선택권을 사실상 원천 봉쇄하는 악행”이라고 강하게 규탄한 뒤 “특히 총선을 앞둔 민감한 시점에 포털이 이런 조치를 강행한다면 지역의 다양한 여론과 정치동향, 현안 등을 알리는 지역언론들의 언로를 차단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국회와 정부는 법률 위에 있는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일탈행위를 더 이상 방관하지 말라”여 대응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