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 양대노조가 임원추천위원회에 차기대표 선임 절차를 공개하고 시민참여를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기존에 진행되던 대표후보자 공개정책설명회 생중계가 없어지고 면접 일정상 시민평가 점수가 후보 선별에 무용해질 가능성이 있어 ‘밀실 심사’, ‘편파 심사’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 TBS 양대노조 비상대책위원회, 민주언론시민연합, 새언론포럼, 전국언론노동조합 등은 10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TBS임원추천위원회에 공개정책설명회, 시민평가단 평가를 유튜브, TBS TV 등 생중계할 것을 요구했다. 사진=박재령 기자
▲ TBS 양대노조 비상대책위원회, 민주언론시민연합, 새언론포럼, 전국언론노동조합 등은 10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TBS임원추천위원회에 공개정책설명회, 시민평가단 평가를 유튜브, TBS TV 등 생중계할 것을 요구했다. 사진=박재령 기자

TBS 양대노조 비상대책위원회, 민주언론시민연합, 새언론포럼, 전국언론노동조합 등은 10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TBS임원추천위원회에 공개정책설명회, 시민평가단 평가를 유튜브, TBS TV 등 생중계할 것을 요구했다. 현재 TBS 임원추천위원회는 후보자들의 신상 공개 문제로 후보자들의 개별 동의가 필요하다며 비공개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이강택 전 TBS 대표 선임 당시에는 유튜브 생중계가 이뤄졌고 KBS, MBC, YTN, 연합뉴스 등 공적 성격이 있는 언론사들은 공개정책설명회나 면접 과정을 유튜브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

[관련 기사 : 유튜브 생중계 비공개, 시민평가 무용론까지… 차기 TBS사장 선출 공정할까]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모든 과정을 불투명하고 정당한 시민참여와 시민공개를 배제한 채 진행하는 사장선임절차는 무엇이란 말인가. 같은 이념성향을 공유하고 있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국민의힘이 주도하는 서울시의회의 짬짜미 아닌가”라며 “밀실에서 진행하는 사정선임절차는 TBS라는 시민방송에 자신의 끄나풀을 앉히고 친오세훈 방송, 친국민의힘 방송을 만들겠다는 또 다른 내로남불”이라고 비판했다.

면접일정에 대한 문제제기도 이어졌다. 임추위 면접 일정이 시민평가 이후인 16일로 예정돼 시민평가 점수를 임추위가 보고 뒤집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더군다나 현재 임추위가 서울시장 2명, TBS 이사회 2명, 서울시의회 3명 등 5대 2 여당 우세로 구성돼 서울시가 원하는 대표가 시민 의사와 무관하게 뽑힐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추천된 2배수 이상의 후보들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종 임명하게 된다.

▲ 서울 상암동 TBS 사옥.
▲ 서울 상암동 TBS 사옥.

TBS 양대노조 비대위는 10일 성명서에서 “임원추천위원회 또한 (공개정책설명회) 같은 자리에 참석하여 시민평가단과 동시에 평가를 진행하라. 임원추천위원회에게 시민의 평가를 평가할 권한은 어디에도 없다”고 밝혔다. 조정훈 언론노조 TBS지부장은 기자회견에서 “정말 시민평가단 점수가 반영되는지 아무도 알 수 없는 불투명한 진행과정이다. 서울시민들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TBS 대표 선임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TBS 구성원은 5일 미디어오늘에 “정상적인 논리라면 임추위원들이 면접을 해서 점수를 준 다음에 시민참가단의 점수를 기계적으로 합산해서 1등, 2등을 오세훈 시장한테 올려야 한다. 하지만 지금 절차로는 임추위가 점수를 보고서 조정을 할 수가 있다”며 “충성경쟁이라고 생각한다. 시민들이 보기에 괜찮다 싶은 사람이 최종 후보에 오르지 않으면 임추위 판단에 대한 비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식의 안전판들을 자꾸 알아서 설치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이전 TBS 대표 선임에는 시민평가 40%, 임원추천위원회 60%가 반영됐다. 하지만 이번 대표 선임에선 시민비중이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TBS 양대노조는 규정에 근거한 최대 40% 시민평가 결과 반영 또한 준수하라고 요구했다.

TBS 양대노조 비대위는 13일 공개정책설명회에 참여하는 6명의 대표후보자들에게도 “정책설명회는 시민뿐 아니라 TBS 노동자 질문에 대한 답변의 자리가 되어야 한다. 방송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인하려는 비대위 공개질의에 후보들은 정책설명회에서 공개답변하라”라며 “답변하지 않는 것은 공영방송의 기본 책무인 설명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후보가 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