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동조합이 26일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선거사무실이 위치한 프레스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한 모습. ⓒ정철운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이 26일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선거사무실이 위치한 프레스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한 모습. ⓒ정철운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이 26일 프레스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TBS를 ‘교육방송’으로 전환하겠다는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발상이 방송법 위반에 해당한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제도적으로 상업광고가 불가능한 TBS의 ‘돈줄’을 쥔 서울시장이 돈으로 언론자유를 침해하려 한다고 우려하며 교통이든 교육이든 방송 내용은 TBS 구성원과 시민들이 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창현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은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보호하기 위해 여기 나온 게 아니다. (프로그램에) 상당한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다.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과 논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불편해서, 방송사 편성에 시장이 개입해서 다 뜯어고치겠다, 이런 오만방자한 발언을 늘어놓는 것은 전두환때나 가능한 일”이라고 오 후보를 비판했다. 이어 “오세훈 후보 발언은 외부에 의한 편성개입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방송법 4조를 정면으로 위반하고 있다”며 “오 후보가 교육방송 전환 발상을 실행에 옮긴다면 법적 대응을 비롯해 모든 행동에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TBS 언론노동자들은 “교육방송 전환은 오세훈식 언론장악”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조정훈 언론노조 TBS지부장은 “선거철이 돌아왔다. 오세훈 시장은 작년 보궐선거 때 TBS 예산을 중단하겠다며 논란을 일으켰고, 55억을 삭감했다. 이번에는 교육방송이라고 한다”며 현 상황을 개탄한 뒤 “구성원들은 미디어재단 설립 목적에 부합하도록 노력해왔다. 정치가 방송을 장악하는 시대는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대 발언에 나선 김두식 미디어발전협의회 의장은 “오 시장은 TBS를 선거에 이용하고 있다. TBS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상업광고 허용처럼 다른 고민을 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
▲집회 참석자들의 모습. ⓒ정철운 기자 

오세훈 후보는 지난 12일 연합뉴스 인터뷰를 시작으로 교육방송 전환을 시사하고 있다. 오 후보는 “평생교육시스템을 가동하는데 인터넷과 방송이 융합이 되면 굉장히 시너지 효과가 난다”며 “이름과 기능을 바꾸게 되면 아마 서울시민들께 굉장히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방송 주파수가 활용될 것”(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이라고 했으며 “(교육방송 전환은) 조례를 바꿔야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시의회가 새로 구성되면 본격적으로 논의할 생각”(CBS <김현정의 뉴스쇼>)이라며 시의회 구성에서 국민의힘이 과반을 넘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오 후보의 생각처럼 ‘교육방송’ 전환은 간단하지 않다. 방송통신위원회 고위관계자는 “서울시미디어재단의 정관을 개정해야 하는 문제로, 방통위에 방송사항변경허가를 받아야 한다. 교육방송으로 바꿔도 될지에 대한 심사는 방통위에서 한다”고 밝혔다. 방통위 고위관계자는 “TBS에 공공자산인 국민의 주파수를 할당해준 만큼, 방송의 기본적인 성격이 달라진다면 원점에서 (주파수 할당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등록사업자인 PP들이 방송 성격을 변경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정철운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