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불거진 ‘편파 판정’ 논란 후 외신도 국내에 커지는 반중정서를 분석하는 보도를 내놨다. 외신들은 편파 판정 논란 당시에도 중국에 유리한 판정을 비판한 바 있고, 이후 보도에선 편파 판정 외에도 국내 반중정서에 영향을 미쳤던 사건들을 짚었다.

지난 7일 오후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에서 편파 판정이 제기되자 외신들은 판정의 공정성을 의심했다. 로이터 통신은 8일 ‘혼란의 파이널’이라는 표현을 쓰며 “한국선수 황대헌이 접촉을 유발하는 불법 레인 변경으로 실격됐다. 한국 쇼트트랙 선수 곽윤기가 혼성 단체전과 관련해 베이징 올림픽 심판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한 후 나온 이 결정은 눈살을 더 찌푸리게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쇼트트랙 종목에서 지나치게 잦은 비디오 판정을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올림픽 쇼트트랙에서 아무것도 공식적인 것은 없다-최소한 리플레이를 보기 전까지는’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23번의 레이스 가운데 4분의 1 이상이 비디오 검토 후 결과가 조정됐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 이후 쇼트트랙에서 가장 큰 논란거리”라고 전했다. 또한 “베이징 올림픽에선 비디오 판독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리플레이 재생 전까진 공식 결과를 알 수 없다”고 했다.

[관련 기사: WSJ: Nothing in Olympic Speedskating Is Official—at Least Not Until the Replay]

▲
▲월스트리트 저널의 베이징 올림픽 관련 기사. 

2002년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은 쇼트트랙 편파 판정의 분수령이 됐던 대회다. 당시 남자 1500m 결승전 마지막 한 바퀴 코너에서 한국선수 김동성을 따라오던 안톤 오노(미국)가 두 손을 번쩍 들었고 이후 김동성의 반칙이 인정됐다. 당시 한국 선수단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국제빙상연맹(ISU)에 항의,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소했으나 기각됐다. 솔트레이크 이후 쇼트트랙에 비디오 판독이 도입됐다.

실제 한국 선수단은 솔트레이크 때처럼 이번 쇼트트랙 판정에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 제소를 결정했다. 한국선수단이 CAS 공식 제소를 결정한 사례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체조 양태영 오심 사건 이후 18년 만이다.

한복 논란, 김치 표기 논쟁 등 반중정서 요소 짚어 

외신은 올림픽 편파 판정 외의 국내 반중정서 요인을 짚는 보도를 내보내고 있다. 9일(현지시간) 가디언은 “이번 올림픽에 한복을 입은 여성이 오성홍기를 들고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등장해 한국에서 공분을 사자, 주한중국대사관이 ‘한복은 한반도의 것이자 중국 조선족의 것’이라고 진화에 나섰다”며 “그러나 이를 순순히 받아들일 한국인은 많지 않아 보인다”고 보도했다.

15일(현지시간) 영국 CNN과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한복 논란, 김치 표기 논쟁, 사드 배치 갈등 등 국내 반중정서 이유를 분석했다.

▲
▲CNN 홈페이지 갈무리. 

CNN은 “양국 간 문화 전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라며 “지난해 한국의 전통 음식인 ‘김치’를 두고 논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매체는 “한국의 문화체육관광부가 ‘신치’를 새로운 중국식 김치 이름으로 규정하는 지침을 발표했다”며 “이것 역시 양국 언론과 국민 사이에서 논쟁을 촉발했다”고 보도했다.

CNN은 “지난 2017년 9월 사드 배치 후 한중 관계는 시험대에 올랐다. 중국은 당시 대통령인 박근혜의 사드 배치에 유감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관련 기사: CNN: South Korea fumes over cultural appropriation and 'biased judgments' at Beijing 2022]

▲
▲FT의 한국내 반중정서에 대한 분석 기사. 

파이낸셜타임스(FT)도 15일 많은 한국인들이 홍콩 시위자에 대한 탄압, 강압적 외교, 한국문화에 대한 존중 결여 등을 이유로 중국에 분노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FT는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한국 젊은이들은 이전 세대와 다르게 중국에 호의적이지 않다”고 분석했다. FT는 아산정책연구원의 제임스김 연구원을 인용, “자유민주주의에서 성장한 한국의 젊은이들은 중국의 권위주의 체제가 얼마나 다른지 알고 있다”고 전했다. 

FT는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를 인용해 “과거에는 한국이 중국과 협력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교류할 것 많은 이웃 국가였다”며 “중국은 한국 문화를 자국 문화인 것처럼 취급하기도 하고, 한국 젊은이들은 홍콩과 대만에서 ‘(중국의) 전체주의 성향’을 목격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FT는 이 보도에서 “많은 한국인들이 보여주는 반중정서는 가까운 경제 파트너이자 분단된 한반도 안보의 강력한 이해당사자를 자극하지 않으려 했던 역대 한국 정부의 접근 방식과는 상충된다”고 분석했다. 

[관련 기사: FT: Winter Olympics speed skating spat stokes anti-China hostility in South Korea]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