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NS와 인터넷상에서는 박근혜 대통령 ‘존영(尊影·사진)’ 논란이 뜨거웠다. 특히 지난달 29일 채널A가 저녁 종합뉴스에서 새누리당 탈당 의원 중 유승민계 후보들에게만 선거사무실에 걸린 박근혜 대통령의 사진을 떼게 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존영’을 ‘영정’이라고 잘못 전달해 물의를 빚었다. 

이후 트위터 등에선 “채널A 너희들 그럴래. 영정이 뭐냐. 대통령이 서거했나”, “종편 채널A에서 박근혜 존영을 영정으로 잘못 멘트했다고 정정, 여러모로 그 사진 액자가 말썽”이라는 등 논란이 확산됐고, 일각에서는 채널A 뉴스 앵커가 바뀌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까지 나왔지만 채널A 측은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관련기사 : 채널A 앵커 "존영을 영정으로 실수" 서둘러 영상 삭제)

현재 채널A 뉴스에선 문제의 앵커멘트가 삭제된 상태다. 이에 대해 채널A 관계자는 “사진을 영정으로 잘못 말해 곧바로 앵커 멘트를 통해 정정했다”고 밝혔지만, “진박이 ‘존영’ 타령을 하더니 결국 이런 방송사고까지, 21세기에 도대체 이게 무슨 소란인가”, “함량 미달의 종편. 정말 가지가지 한다”는 등 누리꾼들의 비난은 계속되고 있다. 

지난달 29일 채널A 종합뉴스 갈무리.
아울러 지난달 25일 SNS상에선 민주언론시민연합 방송모니터위원회가 발표한 Mnet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 모니터보고서가 화제가 되기도 했다. 데뷔할 자격이 주어지는 상위 11명의 평균 방송 노출 시간이 방출된 연습생에 비해 7배가량 차이가 났다는 내용의 이 보고서는 노출 화면 분석을 통해 ‘국민 프로듀서’라는 선발 방식의 공정성이 허상일 수 있음을 지적해 많은 공감을 받았다. 

이처럼 매체 환경의 변화와 뉴스 수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이 다양화됨으로써 시민언론운동 진영에서 만들어 내는 언론 모니터링 메시지도 인터넷 공간에서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콘텐츠와 전달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과거 언론보도 모니터 활동은 언론사 노동조합과의 연대를 통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방송사와 언론사 내 지배·권력구조가 공고화되면서 노조의 대응 역량이 떨어짐에 따라 보도 감시 결과물의 영향력 또한 약화됐다는 분석이다.

김동원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국장은 지난 31일 열린 ‘후퇴하는 저널리즘과 언론운동의 대응’ 토론회 발제자로 나와 “과거 수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경로는 생활 공동체나 지역 공동체에 한정돼 있어 미디어와 제도 정치권을 향한 피드백은 모두 일방향적인 메시지 전달에 집중했다”며 “현재 인터넷 공간을 통한 뉴스 소비와 수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모니터 결과물이나 언론운동의 메시지를 담은 콘텐츠를 직접 전달받는 수용자의 수는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이어 “이제 수용자들은 온·오프라인의 대화와 논쟁에 필요한 소재를 선택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며 “이렇게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지난달 국회의 필리버스터 기간 예상치 못한 시민들의 반응과 정치권을 향한 직접적인 의견 개진을 가능케 했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이번 총선처럼 오직 정치권의 다툼과 권력 투쟁만이 언론에 보도되는 시기에는 이른바 주류 언론은 이런 정쟁 중계에 바쁘고, 언론운동은 악화된 상황의 대중적 공유에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유권자들이 무엇을 알고 싶어 하는지, 어떤 질문을 대신해야 할지 언론이 침묵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언론운동은 대중 커뮤니케이션 장에 어떻게 진입해야 할지를 물을 때”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온 정준희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전문위원도 “언론운동이나 언론감시운동의 무기력증은 아마도 반향이 잘 생기지 않은 데서 오는 듯하다”며 “이른바 나쁜 언론이 이제는 압박을 받지 않고, 설득해야 할 시민 수용자와는 접점이 멀어지면서 결과적으로 나쁜 보도 행태가 바뀌지 않고 누적됐다”고 진단했다.

정 위원은 “현재 시민언론운동은 보편적이기 힘든데, 보편성을 띤 이슈를 잘 잡거나 담론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며 “과거 언론운동으로 성취한 규제 제도 등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타격화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헌법적 가치에 반하거나 윤리적 논란을 점화시킬 수 있는 언론의 사례에 주목해 사회적 반향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를테면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비판을 받았던 박근혜 대통령의 선거 중립 의무 위반 사례 등 공동체와 헌법적 가치에 위배되는 이슈에 대해 옹호하는 언론에 대해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면, 인터넷 공간에서 버즈(buzz)가 커질수록 보수 매체라도 무시 못 하는 경우가 생기고 기존 대중매체로까지 메시지가 확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언경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과거 ‘안티조선’ 운동할 때 안티조선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외려 시민사회 역량을 분산할 수 있다는 반론도 많았으나 이 운동의 성과로 ‘조선일보가 하는 말도 다 믿을 수 없다’는, 보수 언론의 프레임을 사람들이 많이 알게 됐다고 생각한다”며 “모니터 운동의 한계를 잘 알지만 여전히 제대로 감시하는 사람도 있어야 하고, 이를 통해 모인 문제점을 언론을 바꾸는 지렛대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는 함께 고민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