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법 사회적 논의기구인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 위원들이 당파성을 벗어나 합리적인 논의를 하기로 결의했다. 위원장인 김우룡 한양대 석좌교수는 “정파를 떠나서 미디어법의 접점을 찾기 위해 지혜와 경륜, 지식을 보태는 데 함께 노력했으면 한다”며 “미디어법 관련 이해 당사자들의 폭넓은 청문을 통해 의견을 충분히 개진하고 국회 입법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다짐했다.

강길모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 회장은 “밖에서는 정당 대리인처럼 집단 패싸움이 날 것처럼 얘기하지만 실제 특정 정당이 추천했다고 해 거기의 지침이나 방향에 따라 충실할 태도는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최홍재 공정언론시민연대 사무처장도 “시간과 체력이 허용하는 한 최선을 다 하겠다. 합리와 이성에 근거해서 하겠다”고 또박또박 말했다.

변희재 실크로드 CEO 대표는 “두 분 공동 위원장은 각 당이 추천한 위원장이지만 각 당을 이끄는 위원장이 아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모시겠다”고 밝혀 정당에 따른 차별 대우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화합의 분위기도 감지됐다. 최선규 명지대 디지털 미디어학과 교수는 “지금껏 미디어 관련 법 논의 과정이 정쟁 수단이 돼서 타협이 안 됐다. 전문가로서 최선을 다하겠다”며 “공공성, 언론 자유와 산업성은 배치되지 않고 양립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황근 선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가장 중요한 목표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라고 밝혀 야당쪽이 강조하는 대국민 여론수렴에 동의하는 뜻도 내비쳤다.

   
   
 
윤석홍 단국대 언론홍보영상학과 교수는 “학자적 양심을 바탕으로 활동하겠다”며 “다만 우려되는 것은 순수한 전문가 집단이니 자문기구에 충실해서 자칫 정쟁화되지 않도록 전문가적 입장에서 하자”고 제안했다.
위 발언은 한나라당 추천 위원들이 지난 3월 13일 미디어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밝힌 내용이다. 당시 19명의 위원들은 국회 본청에서 손을 맞잡고 웃음을 내보였다. 그러나 100일 종료 시점이 얼마 안 남은 미디어위원회의 현실은 어떤가. 덧없이 사라지는 봄꿈처럼 느껴지는 것은 기자만의 생각일까.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