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은 이번 비가 ‘100년 만의 폭우'라고 했다(중앙일보 사설)”, “102년만의 폭우…서울심장부가 잠겼다(조선일보 1면)”, “수도 서울이 104년 만에 최악의 물 폭탄으로 아수라장이 됐다(세계일보 1면 기사)”….

‘100년만의 폭우’라는 언론 표현에는 굉장히 드물게 일어나는 일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서울시가 물난리를 겪었지만, 이는 100년에 한 번 정도 있는 ‘기상이변’에 따른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중앙일보 사설과 조선일보 1면 기사가 게재된 시점은 2010년 9월 24일자이고, 세계일보 1면 기사는 2011년 7월 28일자이다. ‘100년만의 폭우’가 매년 반복되고 있다는 황당한 상황을 언론보도로 접하고 있는 셈이다.

언론이 기상청이나 서울시 자료를 인용해 무심결에 ‘100년만의 폭우’라고 전할 경우, 수해대책 마련의 당사자인 정부(서울 등 지방자치단체 포함) 책임을 희석시킬 수밖에 없다. ‘100년만의 폭우’라는 언급은 대처하기 어려운 드문 자연재해라는 의미가 담겨 있지만, 이것이 매년 일어난다면 ‘천재(天災)’가 아닌 ‘인재(人災)’가 될 수도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추석을 앞두고 광화문이 물에 잠겼을 때도 ‘100년의 폭우’ 주장 뒤에 숨어서 책임론을 비켜가고자 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서울시 대책은 논란의 대상이었다. 한겨레는 지난해 9월 25일자 <수해대책도 재탕 삼탕, 서울시 부끄럽지 않은가>라는 사설에서 “이 대책들은 이미 2007년 발표한 ‘수방시설 능력향상 4년 계획’에 포함돼 있던 것들이었다. 물난리에 대한 졸속대응 못지않게 수해대책 또한 졸속 베끼기였던 셈”이라고 비판했다.

더욱 문제는 그런 대책마저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겨레는 올해 7월 28일자 <큰 비만 오면 마비되는 디자인 서울의 ‘겉치레’ 시장>이라는 사설에서 “지난해 광화문 물난리 때 내놨던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저류시설, 하수관 확충 등의 대책은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된 게 없다. 청계천 설계 결함도 지적됐지만, 아예 손도 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장세환 민주당 의원은 “국지성 집중호우에 대한 대책은 몇 년째 ‘재탕’하고 있는 대책 이외에는 전무하다”면서 “지난해 광화문 수해를 경험했음에도 아열대성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에 걸맞은 새로운 방재시스템과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기는커녕, 무감각행정으로만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