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도 책이 왔다. 많다. 택배 아저씨가 두 손으로 잡고 끙끙대며 힘겹게 갖다 주신다. 모두 합쳐 그런 커다란 상자 두 어 개 분량이다. 문화부는 이 책들을 놓고 회의를 한다. 이번 주 출판면에는 어떤 책을 밀어올리고 어떤 책을 작게 쓸지, 어떤 책은 넣고 어떤 책은 뺄지 그 짧은 회의시간에 결정해야 한다.

서울 쪽 신문사의 방식은 잘 알지 못한다. 부산에 있는 국제신문의 경우 서울의 도서 유통업체가 일주일 동안 나온 신간을 몰아서 주 1회 보내준다. 여기에 출판사들이 따로 보내주는 책 그리고 부산 등 지역 출판사들이 낸 책이 있다. 이 책들을 갖고 토요일 출판면을 꾸려야 한다.

책이 한꺼번에 오니 그 책들을 검토할 시간은 충분치 않다. 기자생활 15년 중 9년째 문화부에서 묵새기고 있다. 그 시간 동안 어떤 식으로든 출판면에 관여했고 지금은 출판면 책임자 격이다. 때로 그 경험에서 온 감을 믿는다. 그런 감이 좋은 운과 만나면 기쁘다.

두 달 쯤 전 간송 전형필 선생의 일대기를 담은 책 ‘간송 전형필’을 받아들었을 때, 이 중요하고 위대한 인물의 삶을 정면에서 다룬 대중서를 그간 거의 접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자료를 찾아보니 크게 틀린 판단이 아니었다. 이럴 땐 더 생각할 필요가 없다. 출판면 회의 자리에서 자신 있게 면톱으로 밀자는 의견을 냈다. 그 책을 읽은 뒤 기사로 쓴 문화재 담당기자 또한 만족스러워했다. 이럴 때 남모르는 기쁨이 있다. 이런 날이 많지는 않다. 대부분 뭘 면톱으로 삼을지 고민을 거듭한다.

   
  ▲ 국제신문 5월15일자 14면.  
 
그러니 우리에겐 기준이 있어야만 한다. 거창한 규정은 아니지만 문화부 기자들 내면에 공유된 기준은 있다. 1번 기준은 출판면은 국제신문이 생각하는 인문적 가치와 인문적 상황 판단을 대변한다는 것. 그래서 출판면은 다른 신문이나 매체가 무슨 책을 어떻게 썼는지 살피기는 해도 별로 신경 쓰지는 않는다. 이 면은 ‘우리의 인문적 판단’인 것이다.

2번 기준은 다양성이다. 같은 색상으로 지면을 도배하는 행위는 신문에겐 지옥이다. 3번 기준은 독자의 접근성과 꼭 써야할 필요성 사이에서 하는 갈등의 어딘가 지점에 있다. 쓰고 보니 장황해져 버렸는데, 이런 기준을 매번 지켜낸다기보다는 적용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 정확하다.

이렇게 해서 책을 정하면 일단 한숨 돌리는 건 맞지만 사실 상황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읽어야 한다. 완독이어도 좋고, 완독이 아니어도 좋다. 비중이 높게 책정된 책은 그 책을 맡은 기자가 어느 정도 내용에 대한 판단이 서거나 적어도 쓸 거리를 도출해낼 정도까지는 읽지 않을 도리가 없다.

지난주에도 후배기자가 “선배, 이 책 읽다가 어려워서 토하는 줄 알았어요”하고 나를 책망했다. 새벽까지 읽었는데, 방향이나 수준, 내용이 애초 판단과는 달라 뒤늦게 책 자체를 바꿔버리는 경우도 있다. 거의 매일 밤늦게 또는 새벽 일찍 들어가는 내가 모처럼 일찍 집에 가면 어머니는 묻지도 않고 “오늘 책 읽는 날이가?”하고 인사한다. 친한 이들 중에는 내가 책을 읽어야 하는 날엔 아예 전화를 하지 않거나 전화했다가 “아, 맞다! 니 오늘 책 보는 날이제?”하고 사과하는 경우도 있다.

내겐 더 어렵고 안타까운 문제가 있다. 저자와 그 조력자들이 열심히 쓰고, 출판사가 애써 만든 책들 가운데 상당수가 제한된 지면에 아예 선택받지 못하거나 작게 소개된 뒤 한 쪽에 쌓이는 걸 보는 일이다. 출판사나 저자들이 우리 지면이 독자나 시장에서 영향력이 있다고 보든 적거나 없다고 판단하든, 솔직히 그건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는다. 만들고 마케팅하는 건 출판사 일이고, 그 중 우리에게 맞는 걸 골라 독자에게 소개하는 건 우리 일일 뿐인 거다.

   
  ▲ 조봉권 국제신문 문화부 기자.  
 
하지만 마감 직후 신문사 한 쪽에 제대로 선택되거나 조명 받지 못하고 쌓인 책들을 볼 땐 마음이 힘들다는 게 솔직한 심정이다. 나는 과연 저 책 속에 있는 가치를 제대로 평가한 걸까. 소개해야 할 책을 놓치고, 그렇게까지 쓰지 않아도 될 책을 부풀린 건 아닐까. ‘이런 책은 이제 좀 그만 만들지’ 하고 뇌까리게 만드는 책도 있지만, 책 무더기 앞에서 그냥 미안한 마음이 들 때도 있다.

이 글을 쓰는 오늘도 지하철에서 얼마 전 단 몇 줄로 소개하고 그친 소설을 읽으며 “이게 그렇게 넘어가고 말 책이 아니었는데…”하고 혼잣말했다.

아마 비슷한 일을 하시는 모든 분들의 숙명 같은 것 아닐까도 싶다. 그래도, 책과 독자를 연결시켜주는 줄 위의 어딘가에서 매일 헤매는 이 일은 고맙고 행복하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